계면조 편수대엽 (界面調 編數大葉)

고상미
앨범 : 正歌選集 시작


모란은 화중왕(花中王)이요 향일화(向日花)는 충신(忠臣)이로다
연화(蓮花)는 군자(君子)요 행화(杏花)는 소인(小人)이라
국화는 은일사(隱逸士)요 매화는 한사(寒士)로다
박꽃은 노인이요 석죽화(石竹花)는 소년이라
규화(葵花) 무당(巫堂)이요 해당화는 창녀(倡女)로다
이중에 이화(梨花) 시객(詩客)이요
홍도(紅桃) 벽도(碧桃) 삼색도(三色桃)는 풍류랑(風流郞)인가 하노라
向日花; 해바라기
蓮花; 연꽃
杏花; 살구나무 꽃
隱逸士; 은거하는 선비
寒士; 가난한 선비
石竹花; 패랭이 꽃
葵花; 접시꽃
紅桃 碧桃; 붉고 푸른 복숭아꽃

그외 검색된 가사들

가수 노래제목  
조일하 여창가곡 (女唱歌曲) 계면조 (界面調) 편수대엽 (編數大葉) '모란은'  
고상미 계면조 이수대엽 (界面調 二數大葉)  
고상미 계면조 평롱 (界面調 平弄)  
고상미 계면조 태평가 (界面調 太平歌)  
국악 가곡(편수대엽)  
Various Artists 편수대엽-모란은  
이준아 계면-편수대엽(모란은)  
고상미 죽지사 (竹枝詞)  
고상미 춘면곡 (春眠曲)  
고상미 수양산가 (首陽山歌)  
고상미 평시조 '청산리 벽계수야'  
고상미 여창지름시조 '청조야 오도고야'  
고상미 사설시조 '일년 삼백육십일은'  
고상미 엮음지름시조 '푸른 산중하에'  
고상미 우조 우락 (羽調 羽樂)  
고상미 남창지름시조 '바람도 쉬여를 넘고'  
고상미 우조 이수대엽 (羽調 二數大葉)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고상미 계면조 이수대엽 (界面調 二數大葉)  
조일하 여창가곡 (女唱歌曲) 계면조 (界面調) 편수대엽 (編數大葉) '모란은'  
국악  
고상미 계면조 평롱 (界面調 平弄)  
고상미 계면조 태평가 (界面調 太平歌)  
국악 모란(꽃의 노래)  
국악 항산곡  
고상미 우조 이수대엽 (羽調 二數大葉)  
국악 청산도  
국악 수산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