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조 이수대엽 (界面調 二數大葉)

고상미
앨범 : 正歌選集 시작


言約(언약)이 늦어가니 정매화(庭梅花)도 다지거다
아침에 우든 까치 유신(有信)타 하랴마는
그러나 경중아미(鏡中蛾眉)를 다스려 볼까 하노라
庭梅花; 정원에 핀 매화
有信; 믿을 수 있다. 즉 까치가 울면 좋은 소식이나 손님이 온다고 믿는 것

그외 검색된 가사들

가수 노래제목  
고상미 우조 이수대엽 (羽調 二數大葉)  
고상미 계면조 평롱 (界面調 平弄)  
고상미 계면조 태평가 (界面調 太平歌)  
고상미 계면조 편수대엽 (界面調 編數大葉)  
조일하 여창가곡 (女唱歌曲) 계면조 (界面調) 편수대엽 (編數大葉) '모란은'  
Various Artists 이수대엽-버들은  
이준아 계면-이수대엽(언약이)  
이준아 우조-이수대엽(버들은)  
고상미 죽지사 (竹枝詞)  
고상미 춘면곡 (春眠曲)  
고상미 수양산가 (首陽山歌)  
고상미 평시조 '청산리 벽계수야'  
고상미 여창지름시조 '청조야 오도고야'  
고상미 사설시조 '일년 삼백육십일은'  
고상미 엮음지름시조 '푸른 산중하에'  
고상미 우조 우락 (羽調 羽樂)  
고상미 남창지름시조 '바람도 쉬여를 넘고'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고상미 계면조 편수대엽 (界面調 編數大葉)  
고상미 우조 이수대엽 (羽調 二數大葉)  
국악 항산곡  
고상미 계면조 평롱 (界面調 平弄)  
조일하 여창가곡 (女唱歌曲) 계면조 (界面調) 편수대엽 (編數大葉) '모란은'  
고상미 계면조 태평가 (界面調 太平歌)  
국악 청산도  
국악  
국악 수산  
국악 일야도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