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수심가

김옥엽


남도 소리가 육자백이토리로 되어 있다면 평안도나 그 인접지역은 수심가토리로 소리가 전승 되는데 이북 지역에서이지만 으뜸으로 치는 소리가 바로 이 수심가이다.
수심가토리의 특징이라고 꼽는다면 눌러 떠는 소리, 반음 내리는 소리, 내려뜨리는 목을 가지고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게 일반적인데 이 수심가만 잘 부른다면 서도소리는 다 배웠다고 해도 지나친 것이 아닐 터이다.
기본적인 위의 목구성을 처음에는 느리게 하다가 다시 촘촘히 엮어서 몰아가다가 다시 수심가로 느리게 여민다.
이 수심가는 글자 그대로 좀 구성지고 슬픈 곡조가 그 대강을 이루는데 항간에 이르길 성천기생 부용의 애절한 사연을 이런 식의 곡으로 짜서 이어져 내려왔다는 설도 있으나 그 신빙성에서는 근거가 박약하다.
수심가가 민요라고 되어 있지만엇박자나 변체 가락이 그다지 없고 원박으로 대부분 짜여져 있다.
경서도 소리에 있어서 그 음악적 어법이 닮은 데가 있지만 따져보면 비슷한 데가 있기는 하나 다른 점이 많다.
그 첫째로 목 쓰는 방법이 다르다.
눌러뜨리는 목에서는 이북 지역에서는 비슷한 점이 있으나 경기민요에서는 이런 목을 썩 내켜하지 않는다.
두번째로 반음 쓰는 목은 슬픈 느낌을 주는 게 특징인데 달고 놓는데 적절하게 맞는다.
세번째는 내려뜨리는 목에서는 소리를 펴 놓았다가 여민다거나 박자가 바뀔 적에 아주 잘들어 맞는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김옥엽이 이런 시김새를 강하게 구사하지 않고 평탄하게 부르는 것으로 보아 지금의 소리와 조금 다른데 눈여겨 볼 만하다.
소리꾼들이 재주가 빼어나 경서도 소리를 두루두루 잘 하기는 하나 엄격한 의미에서는 다른 점이 많다.

노래 : 김옥엽
원반 : Victor Junior KJ-1096-A
녹음 : 1935. 3. 11

양산 청죽은
철년 산이요
임의 마음은 거성변이에로구나~에
일시지에로
임은 일거에서 내가 어이 사늬

아 약산 몽혼으로
행유적이며
문전석로가 반성사로다
일시지에로
인노양인노이려
내가 어이 사늬
아 이 몸이 둥덩덩 배로 다녀두
임 맨난보기는 지난지사로구나~에

어늬 날이나 우리 님만 맨나서
잘 살아 맨나볼꺼나

아 강산은 문전재봉춘이요
이모 일거에 무슨 지에로
파랑새는 뒤구머리에 저냥 서서
내가 어이 사뇨

그외 검색된 가사들

가수 노래제목  
김옥엽 사발가  
김옥엽 자진 수심가  
김옥엽 천안 삼거리  
구대감.김옥엽 출인가(1)  
구대감.김옥엽 출인가(2)  
구대감.김옥엽 방아타령  
구대감.김옥엽 풍년가  
구대감.김옥엽 도화타령  
구대감.김옥엽 개타령  
구대감.김옥엽 자진 방아타령  
구대감.김옥엽 삼부자 타령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김옥엽 자진 수심가  
함경도민요 수심가  
오복녀 수심가  
Various Artists 수심가  
김광숙 수심가  
이은관 수심가  
김옥엽 천안 삼거리  
김옥엽 사발가  
함경도민요 엮음 수심가  
Various Artists 서도민요 수심가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