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편시춘 한농선

편시춘 - 한농선 아서라 세상사 쓸 곳 없다 군불견 (君不見) 동원도리편시춘 (東園桃李片時春) 창가소부 (娼家小婦)야 웃들 마소 대장부 평생사업 건연히 넘어 가니 동유수 (東流水) 굽이굽이 물결은 바삐 바삐 백천 (百川)이 동도해 (東到海)하니 하시 (何時)에 부서귀 (復西歸)라 우산 (牛山)에 지는 해는 제경공 (齊景公)의 눈물이오 분수의

운담풍경 한농선

운담풍경 - 한농선 운담풍경 근오천 소거에 술을 싣고 방화수류과전천 십리사정 내려가니 넘노나니 황봉백접 쭈루루 펑덩 옥파창랑 떠오나니 도화로다 붉은 꽃 푸른 잎은 산영행수를 그림하고 나는 나비 우는 새는 춘광춘흥을 자랑한다 어디로 가잤어라 한곳을 점점 내려가니 언덕위에 초동이오 석벽하에 어옹이라 새벽별 가을 달빛 강심에 거꾸러져 수중산천

편시춘 임방울

군불견 동원도리 편시춘 창가소부야 말을 듣소.

단가 편시춘 임방울

임방울은 단가 중에 <호남가>, <추억>, <편시춘>을 즐겨 불렀다. 임방울의 음반은 일제 때 많이 팔렸기 때문에 그의 유성기음반은 비교적 많이 발견되는 편이지만 빅타 음반에서 제작된 <편시춘> 유성기음반은 지금까지 발굴된 적이 없었다. 이번에 첫 공개된 이 녹음이 임방울의 소리세계를 이해하는 데이바지 하리라 본다. 단가는 대개 우조로 불리워진다.

편시춘(片時春) 임방울

아서라 세상사 허망(虛妄)허다. 군불견(君不見) 동원도리편시춘(東園挑梨片時春) 창가소부(娼家少婦)야 말을 듣소. 대장부 평생 사업 연년(年年)이 넘어가니 동류수(東流水) 구비구비, 물결은 바삐바삐, 백천(百川)은 동도해(東到海)요. 하시부서귀(何時復西歸)라. 우산(牛山)으 지는 해는 제(齊) 경공(景公)의 눈물이요, 분수추풍곡(汾水秋風曲)은 한(漢) ...

기산영수 (箕山潁水) 고영열

기산영수 별건곤 소부허유 놀고 채석강 명월야의 이적선도 놀고 적벽강 추야월의 소동파도 놀아있고 시상리 오류촌 도연명도 놀고 상산의 바돌뛰던 사호선생도 놀았으니 내또한 호협사라 동원도리 편시춘 아니 놀고 무엇헐거나 잔말말고 일러라.

화초타령 홍지윤

소식전튼 한매화 진시유랑 거후재난 붉어 있다고 복숭꽃 구월구일 용산음 소축신 국화꽃 삼천제자를 강론하니 향단 춘풍의 은행꽃 이화만지 불개문허니 장신문전 배꽃이요 천태산 들어가니 양변 개작약이요 원정부지 이별허니 옥창오견의 앵도화 촉국한을 못 이기어 제혈허던 두견화 이화노화 계관화 홍국 백국 사계화 동원도리 편시춘

양산도 묵계월

양산도 - 묵계월 에헤이예 동원도리 편시춘 (東園桃李 片時春)하니 일촌 (一寸)의 광음 (光陰)이 애석하다 세월아 봄철아 오고 가지 마라 장안 (長安)의 호걸이 다 늙어간다 에헤이예 소슬 단풍 찬바람에 짝을 잃은 기러기 야월공산 깊은 밤을 지새워 운다 일락은 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출동령에 달 솟아 온다 간주중 에라 놓아라 아니 못 놓겠네

양산도 오복녀

환고향 시킬줄 왜 몰라주나 * 가노라 가노라 내가 돌아간다 너를 바리고 내가 돌아간다 에헤이에 차문주가 하처재요 목동요지가 행화춘이로다 * 아서라 말어라 네가 그리 마라 사람의 팔세를 네가 그리 마라 에헤이에 니가 잘나서 천하일색이더냐 내눈이 어두워서 환장이로국나 * 아서라 말어라 네가 그리 마라 사람의 괄세를 네가 그리 마라 에헤이에 동원도리 편시춘

성주풀이 국창 김창환

원반녹음: Columbia 40133-A, 1930년 원반제공: 이중훈 [굿거리]<하농주> 어어, 놀고 놀고 놀아보세, 아니 노지는 못하너니, 낙양성 십리하 높고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이며, 절대가인이 그 뉘신가, 우락중의 기백년 소년행락이 편시춘, 아니 놀고 무엇 할끄나 에라 만소(수) <박노주> 어화 청춘 소년임네, 부귀와 공명을 탐치 마소

화초가 장영찬

천태산 들어가니 양변재작약이요 원정부지이별허니 옥창옥연으 앵도화, 촉국한을 못 이기어 제형허든 두견화, 이화 노화 계관화 동원도리 편시춘 목동요지가 행화촌 월중단계무삼경 달가운데 계수나무, 백일홍, 영산홍, 왜철죽, 진달화, 난초, 파초, 오미자, 치자, 감자, 유자, 석류, 능라, 능금, 포도, 머루, 어름, 대초, 각색 화초 가진 향과 좌우로 심었난디 향풍이

성주풀이 안숙선

이 댁 성주는 와가 성주 저 댁 성주는 초가 성주 한택 안에 공댁 (共宅) 성주 초년 성주 이년 성주 스물 일곱에 삼년 성주 서른 일곱 사년 성주 마지막 성주는 쉬흔 일곱이로다 대활령으로 설설이 나리소서 간주중 낙양성 십리허 (許)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이며 절대가인이 그 누구며 운하춘풍이 미백년 소년행락이 편시춘

기산영수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중훈 (중중머리) 기산영수 별건곤, 소부 허유 놀아있고, 적벽강 추야월으, 소자첨이 놀았고, 채석강 명월야에 이태백이 놀았고, 시상리 오류촌에 도연명이 놀았고, 상산의 바둑뒤던 사호선생이 놀았으니, 내 또한 호협사로 동원도리 편시춘 아니놀고 무엇하리. (자진몰이) 애- 하고 나가더니 나귀 솔질 살살, 나귀 안장을 짓는다.

새타령, 성주풀이 서의철 가단

운하춘풍 미백년(雲霞春風未百年) 소년행락은 편시춘(少年行樂片時春). 아니 놀고 무엇하리? 한송정 솔을 베어 조그맣게 배를 무어 한강에 띄워놓고, 술이며 안주 많이 실어 술렁수 배 띄워라 강릉 경포대로 가자! 에라 만수야, 에라 대신이야 대화련(大花輦)으로 설설이 나리소서 어화 청춘 소년님네 부귀와 공명을 탐치마소.

심청이 입궁하는데 김수연

많다 팔월부용의 군자용 만당추수에 홍련화 암향부동월황혼 소식 전턴 한매화 진시유랑거후재라 붉어 있다고 복숭꽃 구월구일 용신음 소축신 국화꽃 삼천제자를 강론하니 향단 춘풍의 은행꽃 이화만지 불개문허니 장신궁중 배꽃이요 천태산 들어가니 양변개 작양이요 원정부지 이별허니 옥창오견 앵도화 촉국한을 못이기여 제혈허든 두견화 이화 도화 계관화 홍국백국 사계화 동원도리 편시춘

성주 풀이 민요 메들리

에라만소 에라~대~신~~~ 대활연~으로 설서리~ 내리~소~서 에라만소 에~라 대신이여 낙양성~ 심리허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이며 절세 가인이 그 누구며 우락 춘풍~~ 미백년의 소년행락이 편시춘 아니놀고 무엇허리 한 송정~ 솔을 베어 조그맣게 배를 모아 한강물에 띄워놓고 술이며 안주 많이 실어 술렁 수배 띄워라

춘향가 초입 방자 나귀 안장 짓는데

놀만헌 경치를 보지 못 했으니 너의 골에 좋은 승지강산이 어디가 제일이냐 공부허신 도련님이 승지 찾아서 뭣 하실라요 네가 모르는 말이로다 천하제일명승지 도처마다 글귀로다 내 이를게 들어보아라 중중모리 기산영수별건곤 소부허유 놀고 적벽강추야월에 소자첨도 놀았고 채석강 명월야 이적선도 놀았고 등왕각 봉황대에 문장명필의 자취라 내 도한 호협사라 동원도리 편시춘

심청가 중 모녀상봉부터 화초타령까지 (강산제) 유미리

홍련화, 암향부동 월황혼, 소식 전튼 한매화, 진시유랑 거후재난 붉어있다고 복성꽃, 구월구일 용산음, 소축신 국화꽃, 삼천제자를 강론을 허니 행단 춘풍의 은행꽃, 이화만지 불개문허니 장신궁중 배꽃이요, 천태산 들어가니 양변개 작약이요, 원정 부지 이별허니 옥창오견의 앵도화, 촉국 한을 못이기어 제혈허든 두견화, 이화노화 계관화, 홍국백국 사계화, 동원도리 편시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