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자진아리 김종조

왜냐하면 1910년부터 30년대까지 널리 알려진 노래를 모은 잡가집에 <긴아리>,<자진아리>가 거의 수록되지 않았고, 또 여러 유성기 음반에 이 노래가 수록된 경우도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음반에 취입된 김종조의 <긴아리>,<자진아리>는 이 지역 출신의 명창에 의한 귀한 소리로서 순수한 원형에 가까운 것이라 여겨진다.

긴아리 김종조

왜냐하면 1910년부터 30년대까지 널리 알려진 노래를 모은 잡가집에 <긴아리>,<자진아리>가 거의 수록되지 않았고, 또 여러 유성기 음반에 이 노래가 수록된 경우도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음반에 취입된 김종조의 <긴아리>,<자진아리>는 이 지역 출신의 명창에 의한 귀한 소리로서 순수한 원형에 가까운 것이라 여겨진다.

자진아리 이선영

*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1)연분홍 저고리 남길동 소매 너 입기 좋고요 나보기 좋더라 2)여울의 바둑돌 부딪껴 희고 이내 몸 시달려 머리털 셉니다 3)가마채 붙들고 힐난질 말고 나 시집 간데로 멈 살러 오려마 4)나 시집 간데로 멈 살러 오면 신던 버선에 볼 받아 줌세

자진아리 Various Artists

후렴 :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요놈의 종자야 네 올줄 알고 썩은 새끼로 문걸고 잤구나 일하든 오금에 잠이나 자갇지 재넘어 털털 뭘하러 왔음나 울넘어 밖에서 꼴베는 총각아 눈치나 있거든 이 떡을 받아라 저녁을 먹구서 썩 나세니 게묻은 손으로 나를 오랜다 시집에 살이는 할지말지 한데 호박의 박넝쿨 지붕을 넘누나 오래기는 제 오래놓고 사대문 걸고 나부...

자진아리 김용우

연분홍 저고리 남길동 소매 나 입기 좋고요 너 보기 좋구나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가마채 잡고서 힐난 질 말고 나 시집 간데로 멈살이 오소래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나 시집 간데로 멈살이 오면 때 묻은 버선에 볼 받아 줌세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담장 밑에다 집 짓고 살아도 그리워 살기는 매일반이로다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잘 살아라 잘...

자진아리 김혜란

자진아리 - 김혜란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연분홍 저고리 남 (藍)깃동소매 너 입기 좋고요 나 보기 좋더라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여울의 차돌은 부딛겨 희고 이 내 몸 시달려 머리털 셉니다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간주중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가마채 붙들고 힐난질 말고 나 시집 간대로 엄 (머슴)살러 오렴아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서도민요 자진아리 Various Artists

자진아리는 평안도 용강,강서 지방의 민요로, ‘타령’ 혹은 ‘감내기’라고도 한다. 감내기란 밭을 돌본다는 뜻의 이 지방 사투리라고 하는데, 결국 밭매기 소리란 뜻이다. 도드리 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양악반주에 맞게 편곡하여 3박자로 짚어도 되고, 중머리로 쳐도 된다. 이 음반의 4번째 곡과 긴아리-자진아리로 짝을 이루고, 연주자 또한 같은데...

긴아리/자진아리 김광숙

긴아리/자진아리 - 김광숙 야아 조개는 잡아 아하 야하 젓 절이구 가는 님 잡아 아하 서 정 (情) 들이자 바람새 좋다구요 야아 돛 달지 말구 몽금이 개암포 들렜다 가소래 간주중 야아 연분홍 저고리 남 (藍)깃동 소매 너 입기 좋구요 나 보기 좋다 쓰구 달구요 야하 된장 먹지 갈거이 새낭 (갈게 사냥)은 뭘하레 왔음나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장타령 김종조

<각설이 타령>이라고 알려져 있는 장타령은 우리나라 전지역에 구전되어 오던 민요의 하나이다. 걸인들이 구걸을 할 때에 노래를 지어 부르던 것이 곡의 유래라고 추측되지만 경쾌한 리듬과 서민적인 삶의 애환을 담은 사설이 공감대를 형성하였기 때문인지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퍼졌던 것 같다. 이 음반에 수록된 <장타령>은 김종조의 서도창법이 살짝 가미되고 있고,...

배뱅이굿(4)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안택경, 파경 김종조

서도소리 명창 김종조가 부른 것인데 독경하는 판수가 주인과 수작하며 파경을 독경하는 모습을 그린 재담소리이다. 안택경이 집안의 안녕을 축원하는 경이고 파경은 맨끝에 잡귀를 먹여 보내는 경이다. 곡조는 안택경의 경우와 같이 불규칙한 자진장단에 서도소리조이다. 원반 : Victor KJ-1325-A, B(KRE 482, 483) 녹음 : 1939. 3....

배뱅이굿(5)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배뱅이굿(1)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전쟁가 김종조

<전쟁가>는 소설 <삼국지>중 적벽강에서 패한 군졸들이 신세자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빅터를 비롯하여 콜럼비아 등에 전하는 <전쟁가>의 내용을 살펴보면 노래의 사설 중 패졸들의 신세자탄하는 내용은 창자에 따라서, 또 부를 때마다 들고 남아 있지만 노래의 처음과 끝은 공통적으로 패군지장졸들이 자신의 처량한 처지와 고국으로 돌아갈 길이 막연함을 노...

화룡도 김종조

물론 이야기의 전개를 위해 판소리처럼 극적인 음악표현력을 구사하지는 않지만 노래를 통해 이야기 줄거리를 전개한다는 점에서 상호 관련성이 밀접해 보이며 김관준이나 김종조 같은 명인들이 남도 판소리의 성행에 자극을 받아 <전쟁가>, <화룡도> 등을 지어 부른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긴염불 김종조

대표적인 황해도 민요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산염불>로 알려져 있으며 <긴염불>에 이어 부르는 <자진염불>과 짝을 이룬다. 본래는 불가의 노래가 세속화되어 민요로 불리우는 것이라고 하는데 실제 민요에는 불교적 요소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여럿이 부르는 후렴구에 “...... 염불이라 “라는 것이 남아 불교적 인상을 줄 뿐이다. 그런데 이 음반에서...

배뱅이굿(3) 김종조

(곡정보)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배뱅이굿(6)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배뱅이굿(2)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배뱅이굿(8)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배뱅이굿(7)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자진아리 (Prod. by 윤상) 김용우, 이하늬

연분홍 저고리 남길동 소매 나 입기 좋고요 너 보기 좋구나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가마채 잡고서 힐난질 말고 나 시집 간 데로 멈살이 오소래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나 시집 간 데로 멈살이 오면 때 묻은 버선에 볼 받아 줌세나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담장 밑에다 집 짓고 살아도 그리워 살기는 매일반이로다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잘 살아라 잘 살...

이별이래 송소희, 고영열

그림자 세상은 변한 게 없는데 이렇게 이별이래 이제는 다시 볼 수 없는 그대의 슬픈 얼굴 세월이 흐른 뒤에 하얗게 지워질까 추억이 밀려와 쌓이는 우리의 남겨진 시간들 이대로 발길을 돌리면 이것이 이별이래 이것이 이별이래 춘향가 ‘갈까보다’ 中 갈까보다 갈까보다 님 따라서 갈까보다 천리라도 따라가고 만리라도 갈까보다 자진아리

이별이래 송소희/고영열

그림자 세상은 변한 게 없는데 이렇게 이별이래 이제는 다시 볼 수 없는 그대의 슬픈 얼굴 세월이 흐른 뒤에 하얗게 지워질까 추억이 밀려와 쌓이는 우리의 남겨진 시간들 이대로 발길을 돌리면 이것이 이별이래 이것이 이별이래 춘향가 ‘갈까보다’ 中 갈까보다 갈까보다 님 따라서 갈까보다 천리라도 따라가고 만리라도 갈까보다 자진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