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자문안 (소인 방자놈 문안이요)

모보경, 이상호
앨범 : 모보경의 정정렬제 완창 춘향가
[아니리]
방자 깜짝 놀래어 돌아보니 편지가 눈물에 젖어 물걸레가 되었는지라.
방자 기가 막혀,
“아니 저놈의 어른이 남의 편지를 물걸레로 만들어 놨네 그려. 아 이놈의 어른아! 그만 울고 남의 편지 물어내어.”
“오냐 물어주마. 그리고 너 서울 가야 그 양반 안 계시다.”
“계시고 안 계신 속을 당신이 어찌 아요?”
“그 양반과 나는 동문 서학으로 매우 친한 분인데 이번에 그 어른하고 전라도 구경 차로 내려오다, 그 양반은 우도로 나는 좌도로 오는 길이다. 그러니 이 편지는 내가 전해주마. 그 양반과 내월 십오일에 남원서 만나기로 했으니 너는 내려가서 품삯이나 두둑히 받아라.”
“당신 그 말 참말이지라우?”
“어른이 아이들에게 거짓말 않느니라.”
“그럼 편히 가시오. 예.”
“오냐 잘 가거라.”
방자 돌아서서 생각해보니 아무리 봐도 저의 서방님인 듯 허여 ,
“옳지! 우리 서방님 뒷목에 검정 사마귀가 있었지. 가서 봐야지. 여보시오 여보시오, 거기 좀 서 계시오.”
“왜 아니 가고 그러느냐?”
“내가 볼 것이 좀 있소.”
“볼 것 없다. 어서 가거라.”
“꼭 좀 봐야겄소.”
방자 쫓아가 어사또 뒷목을 보랴허니,
“하, 이놈이 어른의 덜미를 잡고 왜 이러느냐?”
“꼭 좀 봐야겄소.”
방자 보더니 틀림없는 저의 서방님인지라.
“아이고 서방님.”
[중모리]
“소인 방자놈 문안이오. 대감 마님 행차 후으 문안 안녕 허옵시며, 서방님도 먼 먼 길에 노독이나 없이 오시니까? 살려주오, 살려주오. 옥중 아씨를 살려주오.”
“오냐, 방자야 우지마라, 우지마라, 우지를 말어라. 이 얘 방자야, 우지마라.”
[아니리]
“방자야, 우지 말고 어서 내려가거라.”
"서방님, 서방님이 이 모양으로 오실 일은 만무헙니다요. 소인에게 쬐께만 가르쳐 주시오."
"뭘 가르쳐 달란 말이냐"
야단은 쳤지만 어사또 생각해보니, 저놈이 관물을 많이 먹은 놈이라 눈치가 비상하거든.
"그래 방자야, 내가 어어어어 참 기맥힌다."
"옳지 우리 서방님이 어어어사라네. 우리 아씨 인자 살었네."
"아니 저런 방정맞은 놈."
어사또 방자가 방정맞은 놈인 줄 아는지라, 본색이 누설될까 염려되어 편지 써주시며,
“방자야, 너희 아씨 생사가 경각에 있으니 이 편지 가지고 운봉 영장을 찾어가면 너희 아씨 살릴 도리가 있을테니 지체말고 속히 내려가거라.”
“예, 서방님 편히 가십시오.”
그 편지는 방자를 가두라는 편지것다.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매란국극단 아이고 춘향아, 아이고 서방님
캐스커 (Casker) 소인
모보경, 이상호 과거장 (그때여 몽룡씨는) ~ 서리 역졸 분발 (남대문 밖 썩 내달아)
모보경, 이상호 춘향의 울음소리에 (내행차 나오려고)
모보경, 이상호 어사또가 춘향을 찾아간다 (초경야경)
모보경, 이상호 교명오작선인교요
모보경, 이상호 군로 사령이 나간다
모보경, 이상호 월매의 한탄 (춘향 모친 전후사를 생각허니)
모보경, 이상호 사령 맞는 춘향 (그럴줄 내 알었다)
모보경, 이상호 춘향의 꿈 (책상의 촛불을 돋우켜고)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