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가야금병창 화초타령

작곡: 박범훈, 편곡: 오윤일 김일륜, 이영신, 김미경(A), 김미경(B), 김후정, 이지연 조현실, 정유경, 최수일, 한향희, 노희숙, 이정은, 윤정희 유연수, 박현영 장구: 김규형 가야금병창은 연주자가 직접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노래하기 때문에 연주가의 음악 감정을 호소력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대로 묵혀 두기 아까운 가야금 병창의 ...

화초타령 홍지윤

화초도 많고 많다 팔월부용 군자룡 만당추수의 홍연화 암향부동 월행혼 소식전튼 한매화 진시유랑 거후재난 붉어 있다고 복숭꽃 구월구일 용산음 소축신 국화꽃 삼천제자를 강론하니 향단 춘풍의 은행꽃 이화만지 불개문허니 장신문전 배꽃이요 천태산 들어가니 양변 개작약이요 원정부지 이별허니 옥창오견의 앵도화 촉국한을 못 이기어 제혈허던 두견화 이화노화 ...

화초타령 자색주화

화초도 많고 많다화초도 춤을 춘다세상의 기화요초를 구하여 황극전 너른 뜰에 가득히 심어 두고 조석으로 화초를 구경 허실 제 화초도 많고 많다팔월 부용의 군자용 만당추수에 홍련화 암향부동 월황혼 소식 전튼 한매화 진시유랑거후재는 붉어 있다고 복성꽃구월구일용산음 소축신 국화꽃삼천 제자를 강론을 하니 행단 춘풍의 은행꽃좌우로 심었난디향풍이 건듯 불며 벌 나...

가야금병창 청산별곡

작곡: 박범훈, 편곡: 오윤일 김일륜, 이영신, 김미경(A), 김미경(B), 김후정, 이지연 조현실, 정유경, 최수일, 한향희, 노희숙, 이정은, 윤정희 유연수, 박현영 장구: 김규형 가야금병창은 연주자가 직접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노래하기 때문에 연주가의 음악 감정을 호소력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대로 묵혀 두기 아까운 가야금 병창의 ...

수궁풍류〜화초타령 정회석, 고수 조용복

[진양조]빠져놓으니. 향화는 풍랑을 좇고, 명월은 해문으 잠겼도다. 영좌도 울고, 사공도 울고, 격군 화장이 모도 운다. “장사도 좋거니와 우리가 연년이 사람을 사다가 이 물에다 넣고 가니, 우리 후사가 좋을 리가 있겠느냐? 닻 감어라. 어기야. 어야 어기어 어야. 우후청강무한경을 묻노라 저 백구야. 홍요월색이 어느 곳고? 일강세우노평생으 너는 어이 ...

가야금병창(호남가) 국악

함평천지 늙은몸이 광주 고향을 보랴허고 제주어서 빌려타고 해 남으로 건너갈제 흥양에 돋은해눈 보성에 비쳐 있고 고산의 아침안개 영암을 둘러있다 태인하신 우리 성군 예악을 장흥허니 삼 태욱경의 순천심이요 방백 수령의 진안 군이라 고창성에 홀로 앉어 나주 풍경을 바래보니 만장운 봉이 높이 솟아~~~ 층층한 익산이요 백리 담양어 흐르난 물은 구부구부 만...

가야금병창 `청산별곡` 숙명 가야금 연주단

*얄리 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리 얄랑셩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청산에 살어리랏다 * 반복 울어라 울어라 새여 자고 니러 울어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 반복 * 반복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 반복 울어라 울어라 새여 자고 니러 울어라 ...

화초타령 (Feat. 서진실) 날다

화초도 많고 많다 팔월부용 군자룡만당추수의 홍련화 향풍이 건듯 불면벌 나비 새 짐생들이 지지 울어서 노닌다구월구일 용산음 소축신 국화꽃삼천제자를 강론을 허니 행단 춘풍의 은행꽃이화만지 불개문허니 장신궁중의 배꽃이요화초도 많고 많다 팔월부용 군자룡만당추수 홍련화 향풍이 건듯 불면벌 나비 새 짐생들이 지지 울어서 노닌다월중단계 무삼경 달 가운데 계수나무 ...

내마음은 하늘나라(가야금병창) Various Artists

나의 인생 죄를 짓고 분별없이 살아갈때 자비로운 하나님 나를 도와 구원했네 갈급하던 내 영혼에 새 생명이 충만하니 내 마음은 작은 천국 내 마음은 하늘 나라 나의인생 구원 받고 믿음으로 살아가니 괴로우나 즐거우나 감사찬송 절로나네 세상욕심 다 버리고 예수님의 제자되니 내 마음은 작은 천국 내 마음은 하늘 나라 나의인생 말씀따라 순종하며 살아가니 걱정근...

적벽가 中 화용도(가야금병창) 윤예원

그때여 공명선생 주유전 허시는 말씀바람은 천공지조화 온데 인력으로 어찌하오리까성사는 재천이요 모사는 재인이라나 할 일 다 한연 후에 천의야 어이하리오백장졸만 명하여 주옵시면 노숙과 남병산에 올라가 동남풍을 비오리다.그때여 공명선생 학창의를 거둠거둠 흉중에다가 딱 붙이고군사를 불러 영을 내린 후남병산을 퉁 퉁 퉁 올라가 동남풍을 빌어 볼 제머리 풀고 벌...

심청가 화초타령 ~ 심봉사 타루비 탄식 정윤형

화초도 많고 많다. 팔월부용군자용 만당추수의 홍련화, 암향부동월황혼 소식 전턴 한매화, 진시유랑거후재라 붉어 있다고 홍도화, 구월구일용산음 소축신 국화꽃. 삼천제자를 강론을 헐 제 향단춘풍의 은행꽃. 이화만지불개문허니 장신궁중 배꽃이요, 천태산 들어가니 양변개작약이요, 원정부지이별허니 옥창오견의 앵도화. 촉국한을 못 이기어 제혈허든 두견화. 이화, 노...

심청가 중 심청이 용궁을 나오는데, 화초타령 방진관

옥황상제가 인당수에 빠진 심청이를 살리고 꽃봉 속에 넣어서 세상으로 내보낸다. 심청이가 들어있는 꽃이 여러 화초와 함께 물 위에 떠있고, 그 곳을 선인들이 지나가다가 온갖 화초를 보며 제 각기 꽃이름을 말한다. 방진관의 이 녹음에는 다른 유파의 심청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사설과 곡조가 많다. 방진관의 걸작이다. 원반 : Victor KJ-1...

봄 노래 안숙선

니나노 노래하자 불어주는 봄바람 장다리꽃 피고요 손에 손을 맞잡고 선남선녀 하느작작 산과 들에 봄 놀이 희희낙낙 거려요 아지랑이 개인 언덕 띠리리 띠리리 피리소리 어꺠춤 절로나네 금수강산 삼천리에 꽃 피고 새 우는 봄이 와 호랑나비 흰나비 꽃을 찾아 날아드는 봄이 와요 두둥실 춤을 추자 [출처] [안숙선&안옥선]봄노래 - 가야금병창

<천주미 가야금병창 창작시리즈 I with 작곡가 선보미> 오태석제 가야금 병창 <박타령>,<돈타령> 천주미

<박타령>실건 실건 톱질이로구나 에이여루 톱질이로구나큰자식은 저리가고 작은놈은 이리 오너라가난이야 가난이야 원수년으 가난이야 어떤 사람은 팔자좋아 고대광실 좋은집으 부귀영화로 잘사는디 이놈으 팔자는 빈헌 팔자로 박을타서 먹고사니 이런 팔자가 또 있느냐 에이여루 톱질이로구나 시르렁 실건 당겨주소 강상어 떴난배는 수천석을 실은밴들 내박한통을 당헐소냐 이박...

중중모리 (엇모리) (5) 정남희

그는 가야금산조 뿐만 아니라 가야금병창 등 많은 분야를 고음반에 기록으로 남겼는데 그의 가야금산조 고음반은 1934년에 녹음한 리갈청반의 석장짜리 고음반을 복각하였다. 이 음반에는 진양조,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머리와 자진 자진머리로 짜여져 가야금 산조 한바탕을 이룬다. 정남희의 이 연주는 매우 기백있게 느껴진다.

진양조 (1) 정남희

그는 가야금산조 뿐만 아니라 가야금병창 등 많은 분야를 고음반에 기록으로 남겼는데 그의 가야금산조 고음반은 1934년에 녹음한 리갈청반의 석장짜리 고음반을 복각하였다. 이 음반에는 진양조,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머리와 자진 자진머리로 짜여져 가야금 산조 한바탕을 이룬다. 정남희의 이 연주는 매우 기백있게 느껴진다.

중모리 (3) 정남희

그는 가야금산조 뿐만 아니라 가야금병창 등 많은 분야를 고음반에 기록으로 남겼는데 그의 가야금산조 고음반은 1934년에 녹음한 리갈청반의 석장짜리 고음반을 복각하였다. 이 음반에는 진양조,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머리와 자진 자진머리로 짜여져 가야금 산조 한바탕을 이룬다. 정남희의 이 연주는 매우 기백있게 느껴진다.

잔모리 (6) 정남희

그는 가야금산조 뿐만 아니라 가야금병창 등 많은 분야를 고음반에 기록으로 남겼는데 그의 가야금산조 고음반은 1934년에 녹음한 리갈청반의 석장짜리 고음반을 복각하였다. 이 음반에는 진양조,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머리와 자진 자진머리로 짜여져 가야금 산조 한바탕을 이룬다. 정남희의 이 연주는 매우 기백있게 느껴진다.

진양조 (2) 정남희

그는 가야금산조 뿐만 아니라 가야금병창 등 많은 분야를 고음반에 기록으로 남겼는데 그의 가야금산조 고음반은 1934년에 녹음한 리갈청반의 석장짜리 고음반을 복각하였다. 이 음반에는 진양조,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머리와 자진 자진머리로 짜여져 가야금 산조 한바탕을 이룬다. 정남희의 이 연주는 매우 기백있게 느껴진다.

중모리 (4) 정남희

그는 가야금산조 뿐만 아니라 가야금병창 등 많은 분야를 고음반에 기록으로 남겼는데 그의 가야금산조 고음반은 1934년에 녹음한 리갈청반의 석장짜리 고음반을 복각하였다. 이 음반에는 진양조,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머리와 자진 자진머리로 짜여져 가야금 산조 한바탕을 이룬다. 정남희의 이 연주는 매우 기백있게 느껴진다.

중머리 심상건

그가 가야금산조를 비롯하여 가야금병창, 시나위합주 등 유성기 음반에 여러 차례 연주녹음을 남긴 일을 생각해 보면 그와 동시대인인 한성기(1896-1950), 김종기(1904-1937), 강태홍(1896-1957)보다 한층 활발한 연주활동을 벌일 수 있었으며, 역사의 격변기에 살았어도 음악적으로는 그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었던 행운을 얻었던 것 같다.

언머리 심상건

그가 가야금산조를 비롯하여 가야금병창, 시나위합주 등 유성기 음반에 여러 차례 연주녹음을 남긴 일을 생각해 보면 그와 동시대인인 한성기(1896-1950), 김종기(1904-1937), 강태홍(1896-1957)보다 한층 활발한 연주활동을 벌일 수 있었으며, 역사의 격변기에 살았어도 음악적으로는 그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었던 행운을 얻었던 것 같다.

다스름 심상건

그가 가야금산조를 비롯하여 가야금병창, 시나위합주 등 유성기 음반에 여러 차례 연주녹음을 남긴 일을 생각해 보면 그와 동시대인인 한성기(1896-1950), 김종기(1904-1937), 강태홍(1896-1957)보다 한층 활발한 연주활동을 벌일 수 있었으며, 역사의 격변기에 살았어도 음악적으로는 그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었던 행운을 얻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