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피리산조(정재국류) 정재국

본 산조는 정재국 명인이 담양 출신의 오진석 선생의 피리 시나위를 정리하여 산조로 재 구성한 곡이다. 첫 발표회는 1972년에 있었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장단은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로 본 연주는 16분까지로 연주한다.

피리산조, 정재국류 Various Artists

피리 : 정재국, 장구 : 박종설 피리독주 산조란 즉흥적인 음악이란 뜻이 담긴곡으로 허튼 가락이라고 부른다. 피리산조는 1960년대 이충선이 한주환(1904~1944)의 대금산조 가락을 중심으로 피리 악기에 알맞게 만든 것이 그 시초이다. 곡의 구성은 느린 진양으로 시작하여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그리고 빠른 자진모리로 되어 있다.

단소독주(청성곡) 정재국

단소 또는 대금의 독주곡으로 유명한 이곡은 그 맑고 청아한 곡의 흐름이 매우 인상적이다. 이곡 역시 자진한잎이 그런 것처럼 가곡과 연관성이 있다. 가곡중 이수대엽과 태평가의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곡이 5장 구성인 점과 평온한 느낌을 주는 것이 서로 일치하는 요소가 아닌가 싶다. 중국 고대의 요순 시절의 태평스러움에 비유되는 곡인 만큼 우리에게...

잦은 한잎(계면두거) 정재국

정재국 명인의 잦은한잎은 특히 대담성이 가장잘 나타나는 곡으로, 가곡 반주시의 온화하고 당당한 곡풍을 역동성 있는 힘찬 곡으로 변화시킨 곡이다. 본 연주는 독주로 계면두거를 연주하였다.

대취타 정재국

편성악기는 태평소를 비롯하여 나발, 나각, 징, 용고, 자바라 등이 편성이 되며 특히 정재국 명인은 이 분야의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지정을 받았다. 본 음반의 대취타는 보유자 지정 후 첫 공연 실황으로서 음반의 가치를 더욱 높여준다.

수제천(1,3,4 장) 정재국

본 연주에서는 주선율의 향피리(정재국 명인)과 아쟁(김종식)의 이중주로 연주하는데 전체 4악장 중 1,3,4장을 연주하며 정재국 명인의 수제천에 대한 해석을 명쾌히 감상할 수 있는 기회이다.

상영산(세피리) 정재국

세피리로 연주하는 평조회상의 상영상으로 이곡은 대금, 피리의 독주곡으로 유명한 곡이다. 이 연주회에서는 세피리의 섬세한 면을 살려 유려한 가락과 연주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야금(최충웅 명인)과 이중주로 연주하는데 정악곡 선율 흐름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곡이다.

피리 콰르텟 김진희

마지막곡인 피리 콰르텟은 이름에서부터 이질적 문화를 서로 연결시키려는 김진희의 감수성이 느껴진다. 150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식 오보격인 피리의 명수 셋(정재국,박종설,양명석)과 더블리드 악기의 명인 조셉 첼리(오보/잉글리쉬 혼)가 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