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둥당기 타령(6학년) 전라도 민요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산에 올라 옥을 캐~니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이름 좋아 산옥이~냐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산에 올라 도라지 캐니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들고 보니 산삼일세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꽃을 꺾어 머리꽂~고 당기 둥당기 둥당기 허 잎은 훑어 입에

거문도 뱃노래 (6학년) 전라도 민요

어야~디~야 어야~디~야 어기여차 어서~가세 어야~디~야 가자 가자 어~서 가자 어야~디~야 어 장~터~로 어서~가세 어야~디~야 어기여차뒤~여 어기여차뒤~여 어야~디~야 어야~디~야 앞산은 점점 가까와지고 어야~디~야 뒷산은 점점 멀어만가네 어야~디~야 여보소 노~를 힘차게 젓소 어야~디~야 어기여차뒤~여 어기여차뒤~여

둥당기 타령 Chrysanth O

당기둥당-기허 당기 둥당기둥당-기허 산에 올라 옥을 캐-니 당 기둥당기 둥당-기허 이름 좋아 산옥이-냐 당 기둥당기 둥당-기허 산에 올라 도라지 캐니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들고 보니 산삼일세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2.

둥당기 타령 아쿠아마린 엠(Aquamarine M)

당기둥당-기허 당기둥당기둥당-기허 산에 올라 옥을 캐-니 당 기둥당기 둥당-기허 이름 좋아 산옥이-냐 당 기둥당기 둥당-기허 산에 올라 도라지 캐니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들고 보니 산삼일세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둥당기 타령 사공빈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산에 올라 옥을 캐-니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이름 좋아 산옥이-냐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산에 올라 도라지 캐니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들고 보니 산삼일세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꽃을 꺾어 머리 꽂-고 당기둥당기 둥당-기허 잎은 훑어 입에 물-고 당기둥당기 둥...

둥당기 타령 Aquamarine M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산에 올라 옥을캐-니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꽃을 꺽어 머리꽃-고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이름 좋아 산옥이-냐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잎은 욽어 입에물-고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산에 올라 도라지캐니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산에 올라 절구경하니 당기 둥당기 둥당-기허 들고 보니 산삼일세 당기 둥당기

둥당기 타령 Various Artists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산에 올라 옥을 케니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이름 좋아 산옥이냐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산에 올라 도라지캐니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들고 보니 산삼일세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꽃을 꺾어 머리 꽂고 당기둥당기 둥당기 허 잎은 훑어 입에 물고 당기둥당기 둥당기

까투리 타령 (전라도 민요) 민 요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사냥을 나간다 후여 전라도라 지리산으로 꿩사냥을 나간다 지리산을 넘어 무등산을 지나 나주 금성산 당도허니 까투리 한마리 푸드득 허니 매방울이 떨렁 후여후여 어허 까투리 사냥을 나간다 후여 까투리 사냥을 나간다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사냥을 나간다 후여 충청도라 계룡산으로 꿩...

까투리 타령 (전라도 민요) 민 요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사냥을 나간다 후여 전라도라 지리산으로 꿩사냥을 나간다 지리산을 넘어 무등산을 지나 나주 금성산 당도허니 까투리 한마리 푸드득 허니 매방울이 떨렁 후여후여 어허 까투리 사냥을 나간다 후여 까투리 사냥을 나간다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까투리 사냥을 나간다 후여 충청도라 계룡산으로 꿩...

민요 메들리 전라도 민요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아라리가 났네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이내 ~ 가슴엔 수심도 많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아라리가 났네 문경 세재는 왠고갠가 굽~ 굽이야 눈물이 난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아라리가 났네 노들 강변 경기도 민요

싸름(6학년) 황해도 민요

싸름~ 싸름~ 느티나무 밑~~에 싸름우는 소리가 귓~가에 들~리네 싸름~ 싸름 내 맘도 살살 다 녹여~낸~~~다 싸름~ 싸름~ 산천초목 우거진 곳 싸름우는 소리가 처~량도 하~~네 싸름~ 싸름 내 맘도 살살 다 녹여~낸~~~다

타령 신안군 민요

흑산도라 문암산은 들어 들어 갈수록 나무가 많고 강원도라 금강산은 들어 들어 갈수록 경치가 좋다. 가지많은 소나무 바람 개일날 없고요 자식많은 우리부모 속편한날 없더라 싫거든 말어라 너한사람 뿐이냐 산넘어 산이있고 강건너 강이있다. 홍도야 백도야 이름난 홍도야 풍난꽃 바람에 향내가 나는구나. 아리랑 순자야 몸단장 하여라 내일 모래 너...

민요 메들리 함경도 민요

언제 님을 만나 얼크러 설크러 질거나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디야 내 사랑아 가을바람 소슬하니 낙엽이 우수수 지고요 풀벌레는 울고 울어 이 내 심사를 달래네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디야 내 사랑아 신고산이 우루루루 함흥차 떠나는 소리에 구고산 큰 애기 밤보짐만 싼다네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디야 내 사랑아 까투리 타령

민요 메들리 신 민요

갑돌이와 갑순이는 한 마을에 살았더래요 둘이는 서로 서로 사랑을 했더래요 그러나 둘이는 마음 뿐이래요 겉으로는 음 ~ 모르는척 했더래요 그러다가 갑순이는 시집을 갔더래요 시집간 날 첫날 밤에 한없이 울었더래요 갑순이 마음은 갑돌이 뿐이래요 겉으로는 음 ~ 안그런척 했더래요 몽금포 타령 황해도 민요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까투리 타령 (자진모리) 민요

1. 전라도라 지리산으로 꿩사냥을 나간다 지리산에 올라 무등산을 복고 나주 금성에 당도하니 2. 충청도라 계룡산으로 꿩사냥을 나간다 계룡산에 올라 속리산을 복고 경상 가야산에 당도하니 3. 경기도라 삼각산으로 꿩사냥을 나간다 삼각산에 올라 종각산을 복고 광주산성에 당도하니 4. 경상도라 문경새재로 꿩사냥을 나간다 문경새재에 올라 청량산을...

둥둥게 타령 (굿거리) 민요

先후렴] 둥둥게당 둥둥게당 둥게둥게 둥당가 둥당가 둥당가 둥게 둥게 둥당가 1. 사 사람을 칠랴면 요 요렇게 친단다 요내 무삼 걱정 이 무삼 심신이 다녹는다 2. 왜 옥양목 속옷이 왜 옥양목 속옷이 입었다 벗었다 꾸김이 구긴다 3. 사 사람이 살며는 며 몇백년 살거나 주검에 들어서 노소가 이른다 後후렴] 둥기 둥게 둥당가

빈지래기 타령 (굿거리) 민요

병이 났네 병이 났네 빈지래기가 병이 났네 화랑기 한테로 점하러 강께 꼬막 사춘이 들었다고 운저리는 나와 피리를 불고 짱둥이는 깡쩌엉 뛰어 징을 두리댕 울리고 쏙대기랄놈은 장구치고 뻘떡기는 춤을 추고 갈포래로 넋을 몰아 물밑에 소랑삼춘은 막걸리 한잔에 틀렸네

잦은방아 타령 (굿거리) 민요

아아아 아아아 에에에 에에에 얼씨구나 비가온다 어디를 갔다 이제오나 옥중 춘향이 임 만난 듯 칠년 대한에 단비로세 볏잎이 훨훨 영화되니 어찌 나니 반길소냐 비를 맞어도 나는 좋고 밥아니 먹어도 배가 불러 김제만경 너른 들판에 꾕아리 쌈으로 하여주소 거드렁거리고 놀아보세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얼씨구 절씨구 여차

매화 타령 경기도 민요

인간 이별~ 만~~사~중에 독~수공방에~ 상사 난이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에야 데야 에 에~~~~~ 에~ 에 뒤~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안~방 건너방~ 가로~닫~이 국~화색김의~ 완자무늬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에야 데야 에 에~~~~~~ 에~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어저께 밤에도~...

도라지 타령 경기도 민요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 심심 산천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로 반실만 되누나 에헤요 에헤요 헤헤야 어여라 난다 지화자 좋다 저기 저산 밑에 도라지가 한들한들

경복궁 타령 민요 메들리

에헤~~어야~~ 얼얼얼 거~리고 방아~~로~다~ 에헤~ 단산 봉황~은 죽실을 물고~~ 벽~오동 속~으로 넘나~~든~다~ 에헤~ 에헤~~어야~~ 얼얼얼 거~리고 방아~~로~다~ 에헤~ 남산하고 십이~봉에~~ 오작~한~쌍이 훨훨 날아~든~다~ 에헤~ 에헤~ 에헤~~~ 에헤~~어야~~ 얼얼얼 거~리고 방아~~로~다~ 군밤 타령

한강수 타령 민요 메들리

띄워라 내 사~~랑~~~아~~ 아하아하 에헤요~ 에헤~요~ 어허~야~~~ 얼~싸함마 둥게 띄워라 내 사~~랑~~~아~~ 조요한 월색~은~~ 강~심에~ 어렸는데~~~ 술렁술렁 배띄워~라~~ 에루화 달맞이~ 가잔~다~~~ 아하아하 에헤요~ 에헤~요~~ 어허~야~~~ 얼~싸함마 둥게 띄워라 내 사~~랑~~~아~~ 태 평 가 (민요

매화 타령 경기도 민요

인간 이별~ 만~~사~중에 독~수공방에~ 상사 난이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에야 데야 에 에~~~~~ 에~ 에 뒤~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안~방 건너방~ 가로~닫~이 국~화색김의~ 완자무늬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에야 데야 에 에~~~~~~ 에~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어저께 밤에도~...

뱃놀이 타령 신안군 민요

언니는 좋컨네 언니는 좋컨네 즈그형부 코가큰께 언니는 좋컨네 아우야 동생아 그말을 말어라 느그형부 코만컷제 별것은 아니란다 헤야루 야루야 헤야루 야루야 헤야루 야누 어기어차 뱃놀이 가잔다 어시렁 달밤에 꾀꼬리 울고요 시집못간 저 처녀가 바람이 났구나 헤야루 야루야 헤야루 야루야 헤야루 야누 어기어차 뱃놀이 가잔다 어시령 달밤에 꾀꼬...

창부 타령 경기도 민요

아~니~~~~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하늘과 같이 높은~~~사랑 하해와~ 같이~도~ 깊은~ 사~랑~~ 칠년 대한 가~뭄~~ 날~에~~ 빗발 같~이도~ 반긴~ 사랑 당명화에 양귀~비요~~~ 이 도~~령~~의~ 춘향~이라 디리리 디리리 리리리리 딧디리 리리리 리리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아~니~~~~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봄들~었네 봄들~~...

경복궁 타령 경기도 민요

에에헤이여야얼럴럴 거리고 방아로다에 남문을 열 파루를 치니 계명 산천이 밝아 온다 에 을축 사월 갑자일에 경복궁을 이룩일세

창부 타령 경기도 민요

아~니~~~~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하늘과 같이 높은~~~사랑 하해와~ 같이~도~ 깊은~ 사~랑~~ 칠년 대한 가~뭄~~ 날~에~~ 빗발 같~이도~ 반긴~ 사랑 당명화에 양귀~비요~~~ 이 도~~령~~의~ 춘향~이라 디리리 디리리 리리리리 딧디리 리리리 리리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아~니~~~~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봄들~었네 봄들~~...

쾌지나 칭칭(6학년) 우리 나라 민요

쾌지나 칭칭 나네~ 쾌지나 칭칭 나네~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다 쾌지나 칭칭 나네~ 또 내 가슴엔 희~망도 많~~다 쾌지나 칭칭 나네~ 서산~에 지~는 해~~를 쾌지나 칭칭 나네~ 그 뉘라~서~ 잡아 매~~며 쾌지나 칭칭 나네~ 가는 세월을 막~을 손~~가 쾌지나 칭칭 나네~ 쾌지나 칭칭 나네~ 쾌지나 칭칭 나네~

흥 타령 Various Artists

우리나라에서 불리어지고 있는 홍타령은 [경기도 홍타령]과 [전라도 흥타령] 등 두가지 유형이 있다. 경기도 홍타령은 [천안삼거리]로 잘 알려진 소리로서 말끝마다 [흥]하는 입타령이 붙어 있고 굿거리 장단에 맞춰부른다. 전라도 흥타령에서는 뒷소리에만 흥이 붙어 있고 중몰이 장단에 맞춰 부른다.

몽금포 타령(민요) Kang, Byeong-Cheol & Samtaeki

1.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나드니 금일도 상봉에 임만나 보겠네 에헤요 에헤요 에헤야 임 만나 보겠네 2. 갈 길은 멀구요 행선은 더디니 늦바람 불라고 성황님 조른다 에헤요 에헤요 에헤야 성황님 조른다 3. 바람새 좋다구 돛달지 말구요 몽금이 포구에 들렀다 가소래 에헤요 에헤요 에헤야 들렀다 가소래 4. 달은 밝구요 바람은 찬데요 순푸에 돛달...

농부가 전라도 민요

(중모리) 두리둥둥 두리둥둥 깨갱매깽매깽매 어럴럴럴 상사디여 1.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네 말좀 들어보소 어허와 농부들 말들어요 신농씨 만든 쟁기 좋은 소로 앞을 매어 상하평 깊이 갈고 후직의 본을 받아 백곡을 뿌렸으니 용성의 지은 책력 하시절이 돌와왔네 2. 이마위에 흐르는 땀은 방울방울 헹기일고 호미끝에 이는 흙은 댕기댕기댕기 황금이로구...

진도아리랑 (중모리 또는 양산도) 전라도 민요

(받는소리)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 아라리가 났네 1. 문경새재는 웬 고갠가 굽이야 굽이굽이가 눈물이난다 2. 노다가세 노다가세 저 달이 떴다지도록 노다나 가세 3. 산 천초목은 달이달달 변해도 우리들의 먹은 마음 변치를 말자 4. 만경창파에 두둥둥 뜬 배 어기여차 어야뒤어라 노를 저어라 5. 서산에 지는해는...

진도 아리랑 전라도 민요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 아라리가~ 났네 가지 마~오~ 가지 마~~~~오 저 달이 떴다 지거든 그~제~사 가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 아라리가~ 났네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이 내~ 가~슴~엔 수~심~도 많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

진도 상여소리(만가) 가운데서 (중염불) 전라도 민요

(받는소리) 나무야 나무야 나무 나무 나무야 나무아미타불이로 새로 아미났네 메기고 받는다 1. 나무야 허 - 나무 나무 나무여 나무아미타불이로 새로 아미 났네 2. 동해로 허 - 나무 나무 나무여 나무아미타불이로 새로 아미 났네 3. 나무여 허 - 나무 나무 나무여 나무아미타불이로 새로 아미 났네

비타령 (굿거리) 전라도 민요

아아아 아아-아 헤헤헤헤이 헤이 헤 얼씨구나 비가온다 어디를 갔다 이제 오나 옥중춘향이 임 만난듯 칠년대한에 단비로세 볏잎이 훨훨 영화되니 어찌 아니 반길소냐 비를 맞아도 나는 좋고 밥아니 먹어도 배가 불러 김제만경 너른 들판에 광아리 쌈으로 하여주소 거드렁거리고 놀아보세 얼씨구절씨구 지화자 좋네 얼씨구나 절씨구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

진도 아리랑 전라도 민요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 아라리가~ 났네 가지 마~오~ 가지 마~~~~오 저 달이 떴다 지거든 그~제~사 가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 아라리가~ 났네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이 내~ 가~슴~엔 수~심~도 많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

물레야 (세마치) 전라도 민요

후렴] 물레야 물레야 뱅뱅뱅 돌아라 월이렁 설이렁 잘도 돈다 1. 춥냐 덥냐 내 품안으로 들어라 비게가 높고 낮거든 내 팔을 베잔다 2. 해당화 한송이 와자자자끈 꺽어 우리님 머리위에다 꽂아나 줌세 3. 살살 바람에 달빛은 밝아도 그리는 마음은 어제가 오늘 (중모리) 4. 물레소리는 뱅뱅뱅 도는디 한양 가신 서방님은 소식도 없네

남원산성 (굿거리) 전라도 민요

(받는소리) 에헤야 뒤여허 허둥가 허허 둥가 둥가 내 사랑이로구나 1.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지니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 석양은 늘어져 갈매기 울고 능수버들가지 휘늘어질때 꾀꼬리는 짝을 지어 이 산으로 가면 꾀꼬리 수리루 음음 어허야 2. 니가 나를 볼라면 심양강 건너가 이친구 저친구 다정한 내친구 설마 설...

쑥대머리 (중모리) 전라도 민요

1. 쑥대머리 귀신형용 적막 옥방에 찬자지라 보고지고 보고지고 한양낭군 보고지고 일구월심 긴긴세월 일장소식 돈절하니 천번만번 죽사와도 임 향한 일편단심 춘향 절개 지키리오 응- 응- 설레설레 운다 2. 쑥대머리 귀신형용 적막 옥방에 찬자지라 그리워라 그리워라 한양낭군 그리워라 오매불망 우리낭군 일일천추 한이되어 이내 간장 녹인 눈물 밤낮을 ...

등짐소리 (중모리) 전라도 민요

(받는소리) 아 허-어허 에헤야 아 허 어허 에헤 1. 바늘 같은 허리에다 태산 같은 짐을 지고 이 고개를 어이 넘으을거나 2. 십오야 밝은 달은 십이 제국을 보건마는 우리 두눈은 그리운 님을 못 보는구나 3. 연닢 댓닢 숙어진데 금붕어 꼬리치고 작은 붕어는 물 먹느은구나

담바귀(담배)타령 경상도 민요

시작일세 시작이야 담바귀타령이 시작일세 담바귀야 담바귀야 동래나 울산의 담바귀야 너의 국(國)이 어떻길래 대한의 국을 왜 나왔나 우리 국도 좋건마는 대한의 국을 유람을 왔네 은을 주어 나왔느냐 금(金)을 주러 나왔느냐 은도 없고 금도 없고 담바구씨를 가지고 왔네 저기 저기 저 산 밑을 슬슬 갈아 엎어 놓고 담바구 씨를 훌훌 뿌려 낮이면은 찬...

풍 년 가(6학년) 우리 나라 민요

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네 금수강산에 풍년이 왔네 지화자 좋다 얼씨구나 좋구 좋다 명년 춘삼월에 화전놀이 가세

민요 메들리 경기도 민요

풍년이로구나 지화 좋다 얼씨구나 좀두 좋냐 명년 오뉴월에 탁족놀이 가자 천하지대본은 농사밖에 더 있느냐 놀지 말고서 농사에 힘씁시다 지화 좋다 얼씨구나 좀두 좋냐 명년 구시월에 단풍놀이 가자 함경전 넓은 뜰 영 애기 걸음으로 아기장 총총걸어 하늘거리고 나간다 지화 좋다 얼씨구나 좀두 좋냐 명년 동지섣달 설경놀이 가자 창부 타령

도라지 타령 (경기도 민요) 민 요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심심산천에 도라지 한 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로 반실만 되누나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한들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강원도 금강산 백도라지 도라지 캐는 아가씨들 손맵시도 멋드러졌네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 한들 에헤요 에헤요...

오봉산 타령 (경기도 민요) 김영임

오봉산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가지 꺽어도 에루화 모양만 나누나 에헤야~ 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제일 봉에 백학이 춤추고 단풍진 숲속에는 새울음도 처량쿠나 에헤야~ 어허야 영산 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꼭대기 홀로 섰는 노송남근 광풍을 못이겨 에루화 반춤만 춘~다 에헤야~ 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타령 (경기도 민요) 김영임

오봉산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가지 꺽어도 에루화 모양만 나누나 에헤야~ 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제일 봉에 백학이 춤추고 단풍진 숲속에는 새울음도 처량쿠나 에헤야~ 어허야 영산 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꼭대기 홀로 섰는 노송남근 광풍을 못이겨 에루화 반춤만 춘~다 에헤야~ 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도라지 타령 (경기도 민요) 민 요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심심산천에 도라지 한 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로 반실만 되누나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한들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강원도 금강산 백도라지 도라지 캐는 아가씨들 손맵시도 멋드러졌네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 한들 에헤요 에헤요...

몽금포 타령 (황해도 민요) 김영임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금일도 상봉에~ 임만나 보겠네 에헤요 에헤이요 에헤이야~ 임 만나 보겠네 갈길은 멀구요~ 행선은 더디니~ 늦바람 불라고~ 성황님 조른다 에헤요 에헤이요 에헤이야~ 성황님 조른다 바람새 좋다구~ 돛달지 말구요~ 몽금이 포구에~ 들렸다 가소래 에헤요 에헤이요 에헤이야~ 들렀다 가소래

몽금포 타령 (황해도 민요) 김영임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금일도 상봉에~ 임만나 보겠네 에헤요 에헤이요 에헤이야~ 임 만나 보겠네 갈길은 멀구요~ 행선은 더디니~ 늦바람 불라고~ 성황님 조른다 에헤요 에헤이요 에헤이야~ 성황님 조른다 바람새 좋다구~ 돛달지 말구요~ 몽금이 포구에~ 들렸다 가소래 에헤요 에헤이요 에헤이야~ 들렀다 가소래

6학년 형돈이와 대준이, 장미여관

6학년 때 낯설었던 친구들과 만나던 봄에 나는 엄마가 싸준 도시락을 들고 교실 앞에 서있는데 말 걸어준 소녀 하나가 나의 첫 짝꿍 이었다네 친절했던 그 소녀가 어느새 내 맘에 들어와 어설픈 괴롭힘에 마음을 전했고 그런데도 웃으면서 내 이름을 불러준 소녀 봄만 되면 생각나더라 그 소녀는 전학 갔고 나는 그 소녀 그리워했고 그 소녀가 떠나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