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남도민요 화초사거리 이화중선.이중선

<화초사거리>는 경기지역의 <산타령>에서 파생된 남도민요로서 <산타령> 중에 ‘놀량’의 사설과 비슷하다. ‘저타령’, ‘화저타령’, ‘화초타령’이라고도 한다. <화초거리>는 본디 ‘판염불’이라 하였고 후반부에 “왼갖 화초를 다 심었는디”라는 사설이 있어 ‘화초 염불’이라 했었는데 현재는 <화초사거리>로 통한다.

남도민요 보렴 이화중선.이중선

가장 대표적인 남도민요 중 하나다. 타락한 불사 신도들 사이에서 불리워지던 것을 후에 사당패가 즐겨 불렀다고 한다. 이 곡은 왕가의 번영를 중몰이 장단에 얹어 축원하면서 시작된다.

화초사거리 신영희

산천 초목이 송잎은 다 헌디 구경에 헤 어 야 어허 어이리 아무리 허여 어기어싸 네 헤로구나 아아아아 에헤야 에-어어어 허야 어허 어이리 아무리 허여 어기얼싸 네 헤로구나아야... 뒤여 어허허 어이리 이잇이 얼싸 네로구나 이 이이-어리이얼싸 네로구나 어기얼싸 헤헤야 어야라 어기얼싸 어리이-얼씨구나 절 씨구나 말 들어 보아라 어어리잉이.. 어어리이이.....

화초사거리 Unknown

산천초목이 송잎은 어허런다 구경해 헤허허야 어허라이 아무리 허여 어기열사 에해 내로구나 아아 에헤야 어어의어야 어듸야 아무리 허여 어기열사 에헤 내로구나 어어 어허 어리이 이이열사 내로구나 이이이 어리이열사 내로구나 어기이얼사 에헤야 어야뒤 어허 어기열사 어리이이 얼시구나 절시구나 말들어 보아라 어어듸이 어어리이이 이이어리이 이이 이이 어허허...

화초사거리 Various Artists

산천초목이 송잎은 어허런다 구경해 헤허허야 어허라이 아무리 허여 어기열사 에해 내로구나 아아 에헤야 어어의어야 어듸야 아무리 허여 어기열사 에헤 내로구나 어어 어허 어리이 이이열사 내로구나 이이이 어리이열사 내로구나 어기이얼사 에헤야 어야뒤 어허 어기열사 어리이이 얼시구나 절시구나 말들어 보아라 어어듸이 어어리이이 이이어리이 이이 이이 어허허야...

남도민요 육자배기 Various Artists

육자배기는 너무나 유명한 남도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그러나 말이 민요이지 실제로는 느린 진양 장단에다 선율의 기복이 매우 심하고 목을 심하게 꺾어 내기 때문에 무척 부르기 어렵다고 한다. 중모리 흥타령 역시 대표적인 남도민요로 ‘아이고 데고 성화가 났네, 흥’ 하는 후렴이 따라 붙으며, 그때그때 지어 부르는 노랫말은 흥겹기보다는 대개 애조를 띄고 있으...

남도민요 홍타령 Various Artists

육자배기는 너무나 유명한 남도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그러나 말이 민요이지 실제로는 느린 진양 장단에다 선율의 기복이 매우 심하고 목을 심하게 꺾어 내기 때문에 무척 부르기 어렵다고 한다. 중모리 흥타령 역시 대표적인 남도민요로 ‘아이고 데고 성화가 났네, 흥’ 하는 후렴이 따라 붙으며, 그때그때 지어 부르는 노랫말은 흥겹기보다는 대개 애조를 띄고 있으...

흥타령 한성준 외

남도민요 <흥타령>을 중몰이 장단에 얹은 기악합주다. 본디 느리고 처지는 듯한 <흥타령>이 속도감을 느끼게 하며, 특히 방울 달린 탬버린 소리 같은 금속방울 소리가 장구 장단을 받쳐주어 요즘 기악합주에 비해 색다른 느낌을 준다. 원반 : Victor KJ-1066(KRE 152) 녹음 : 1936. 3. 5

춘향가 중 이별가(여보 도련님) 김초향.김소향

이화중선.이중선 자매가 함께 녹음하면 이화중선이 주도하고 이중선은 부르는 시늉만 하는데 비해, 김초향.김소향 자매는 사이좋게, 혹은 서로 앞다퉈 힘을 다해 부른다. 같은 곡조를 두 사람이 똑같이 부르기 때문에 하모니를 위한 이중창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