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기산영수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중훈 (중중머리) 기산영수 별건곤, 소부 허유 놀아있고, 적벽강 추야월으, 소자첨이 놀았고, 채석강 명월야에 이태백이 놀았고, 시상리 오류촌에 도연명이 놀았고, 상산의 바둑뒤던 사호선생이 놀았으니, 내 또한 호협사로 동원도리 편시춘 아니놀고 무엇하리. (자진몰이) 애- 하고 나가더니 나귀 솔질 살살, 나귀 안장을 짓는다.

기산영수 안숙선

영웅열사 (英雄烈士)와 절대가인이 삼겨날 제 강산정기 (江山精氣)를 타고 나는디 군산만학부형문 (群山萬壑赴荊門)에 왕소군 (王昭君)이 삼겨나고 금강활 아미수 (錦江滑 峨嵋秀)에 설도문군 탄생 (薛濤文君 誕生)이라 우리나라 호남 좌도 남원부는 동으로 지리산 서으로 적성강 (赤城江) 산수정기 어리어서 춘향이가 삼겼겄다 숙종대왕 즉위초 (卽...

이별가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중훈 (진양조) 이별이야, 이별이로구나. 천지만물 삼길적으, 뜻 정자를 내어 거던 이별 별자를 내지 말거나, 이두 글자내던 사람은, 날과 백년이 원수로다. 허-허- 이거 웬말이요, 와락락 일어나며, 발길에 걷어치난, 추매(마)자락도 짝짝 짓어서 뿌리쳐 버리고, 면경채경도 두리쳐어 안으서 문방사우어다. 후닦닦 터리니 와르르르 당당 부두치며,...

자진 사랑가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창익 (중중머리) 사랑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사랑이로구나 내 사랑이야. 으흐 흐흐흐 내 사랑이로다. 섬마 둥둥둥 내 사랑이야. 네가 금이냐 네가 금이냐? 금이란 말이 당치 않소 옛날 초한 적 진평이가 범아부를 잡으랴고 황금 사만을 흩었시니 무슨 금이 되오리까? 내 사랑 내 간간 내 알뜰이로다. 섬마 둥둥둥 내 사랑이야. 이얘 그러...

흥보 구걸하러 가는데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중훈 (중머리) 저 아전, 거동을 보아라, 궤문을 덜컥 열고 돈 닷량을 내어 주니, 흥보가 받어들고 나 다녀오리다. 네 평안히 다녀오십시오. 흥보 거동보아라. 질청 밖으로 썩나서서, 얼시구나- 얼시구나- 절시구 지화 지화 지화 좋을시구나. 떡국집으로 들어가서 떡국 돈반어치 사서 먹고, 막걸리집으로 들어가서 막걸리 두돈어치 서서 먹고, 비지...

흥보 매 맞으러 가는데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중훈 (아니리) 자 이 돈 가지고 괴(고)기사고 쌀 팔어, 고기를 써러넣고 육수를 누구륵하게 열한통만 끓리게, 우리가 여러달 굶주리다 한통식 들 먹겠나 넉동빼기 윷놀낼넘처럼 느려 뱅도라앉어 어른도 한통 아해도 한통, 한통식을 먹어노니 식곤쯩이 나서, 코 끝머리에서 쇠주 후국내리듯 주말국이 댕강 댕강 흘러 내리며 고자덕에 잠을 자는데, 그때...

심황후 사친가 이화중선

원반제공: 박미화 (진양조) 추월은 만정허여, 산호주령으 비치어 들 제, 청천으 외기러기난 월하으 높이 떠서, 뚜우루 낄룩 울음을 울고 가니, 심황후 기가막혀 기러기 줄러 말을 허되, 오느냐 저 기럭아, 소중랑 북해상으 편지 전턴 기러기냐? 도화동을 가거들랑 불쌍하신 우리 부친 전으 편지 일장을 전하여 다고. 방으로 들어와서, 편지를 쓰랴 할적으, 한...

소상팔경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창익 (중머리) 산악이 잠형하고, 음풍이 노호한디 천병만마, 서로 맞아 철기도창이었난듯, 첨하끝에, 급한 형세는 백절폭포가 쏘아 있고 대수풀, 흩뿌리니 황영의 깊은 한을 잎잎이, 하(호)소허니 소상야우가 이아니냐. 칠백평호 맑은 물은 상하천광이 푸르렀다. 어름바퀴 문득 솟아 중천으 배회하니 계궁 항아 단장허고 새 거울을, 열었난듯 적막한 ...

초한가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중훈 (중머리) 어허 청춘 벗님네 초한 승부를 들어보소. 절인지용 부질없고, 순민심이 으뜸이라. 한패공의 백만대병 구리산하 십면매복 대진을 둘러치고, 초패왕을 잡으?U제 천하병마 도원수는, 걸식표모 한신이라, 대장단 높이 앉아 천하제후를 호령할 제, 형양성고 험한 길과 팽성도 오백리를 거러거리 복병이오, 두루두루 매복이라, 모계 많은 이좌...

동풍가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중훈 (진양조) 춘하추동, 사시절을, 허송세월 옥중에서, 망부사로 울음을 운다. 동풍이 눈을 녹이여, 가지가지 꽃이 피고, 작작허구나 두견화는 나부(비)를 보고 웃는 모양, 반갑고도 ?별탑錚? 눌과 함께 동침하며, 눌과 같이 듣고 볼거나 꽃이 지고 잎이 피니 녹음방초 시절이라. 꾀꼬리 북이 되야. 유상세지 늘어진데 구십춘광 짜는 소리는 아...

방자와 춘향의 수작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중훈 (중중머리) 그른 내력을 들어를 봐라. 네 그른 내력을 들어를 봐라. 계집아이 행실로서 여봐라 추천을 헐 양이면, 네 집 후원에 그네를 매고, 냄(남)이 알까 모를까 허여서 은근히 뛰는 것이 옳지. 광한루 머잖은디 또 이곳을 거논을 허면, 녹음은 우거지고 방초는 푸르러, 앞냇 버들은 초록장 두르고 뒷 냇버들은 유록장 두리처 한가지 늘...

춘향의 집 경치 이화중선

원반제공: 최혜지 (진양조) 저 건너 봉황대 밑에 동편의 난 송정이오 서편으난 죽림이라. 정하의 새소리난 유사무사 양유사요, 담장안의 도화를 심어서 호점쌍쌍 왕래하고, 들죽 죽백 전나무는 휘휘칭칭 얽그러져서 담장밖으 우뚝 솟아는데, 무산십이 회단상에 모란 작약 영산홍은 점점히 쌓였는디, 송정죽림 두 사이로 은근히 보이난 것이 저기 춘향의 집으(이)로소이다.

방자데리고 춘향가로 이화중선

원반제공: 이월희 퇴령소리, 길게나니, 도령님이 좋아라고, 방자야- 예- 청룡으 불밝혀라. 등이나 뒤를 따라라. 춘향집으 어서 가자. 관문을 열넌 지내여, 남문밖 나올적으, 도령님 가는 거동, 운간월색 희롱하며, 화간의 푸른버들 몇번이나 꺽어지며, 대로상 발자취를 몇번이나 집박한고, 춘향문전 당도허니, 공산을 울울하고 자단 박달이 얼커러져, 청송 녹죽...

기산영수 (箕山潁水) 고영열

기산영수 별건곤 소부허유 놀고 채석강 명월야의 이적선도 놀고 적벽강 추야월의 소동파도 놀아있고 시상리 오류촌 도연명도 놀고 상산의 바돌뛰던 사호선생도 놀았으니 내또한 호협사라 동원도리 편시춘 아니 놀고 무엇헐거나 잔말말고 일러라.

한 곳을 바라보니 이영태

허리는 늘씬 꼬리는 뭉뚝 좌편 청산이요 우편은 녹순데 녹수 청산의 애굽은 장송 휘늘어진 양류속 들락날락 오락가락 앙금 주춤 섰난 토끼 산중퇴 월중퇴 자라가 보고서 괴이여겨 화상을 보고 토끼를 보니 분명한 토끼라 보고서 반기여겨 저가 섰는게 토생원 아니요 토끼가 듣고서 좋아라고 깡충뛰어 나오면서 거 뉘가 날 찾나 날 찾을 이가 없건마는 거 누구가 날 찾어 기산영수

창부타령 - 고사(故事) 전병훈

인황시며 실로 황제가 복희씨라 성덕이 없어 붕 했으며 말 잘하는 소진 장의도 육국제왕을 다 달랬으나 염라대왕은 못 달래어 한번 죽엄을 못 면하시고 그러하신 영웅이야 죽어 사적이라도 있거마는 우리 초로 인생이야 한번 가면은 영절이라 얼씨구 얼씨구 지화자 좋아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아 덩기덩 덩기덩 덩덩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날 찾네 날 찾네 그 누구가 나를 찾나 기산영수

경기민요 개성난봉가(박연폭포) Various Artists

그러나 빅타가 야심작으로 한국시장에 진출하려는 때에, 판소리의 이동백,이화중선, 경기소리의 박춘재 등과 함께 서도소리의 백운선을 기용한 것만 보더라도 그의 소리 기량을 쉽사리 짐작할 수 있으며, 또한 30년대 중반 빅타 주니어판으로 재발매된 것도 그의 지속적인 인기를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 녹음은 바로 빅타 주니어의 원반을 재녹음한 것이다.

토끼와 자라 임방울

기산영수 소부 허유 피서 가자고 날 찾나. 수양산 백이 숙제 채미 하자고 날 찾나. 백화심처 일순주라. 춘풍석규 화림중으. 성진 화상이 날 찾나. 완월 장취 강남 태백이 기경 승천하면서, 함께 가지고 날 찾나. 도아 류수 범주하던 거주 속객이 날 찾나. 청산 두견 백로파로 여동빈이 날 찾나.

창부타령 김혜란

창부타령 - 김혜란 아니 아니 놀진 못 하리라 나를 찾네 나를 찾네 그 누구라 나를 찾나 기산영수 별건곤 (箕山潁水 別乾坤)에 소부 허유 (巢父 許由)가 날 찾나 백화심처일승귀 (百花深處一僧歸)라 춘풍석교화림중 (春風石橋花林中)에 성진 화상 (性眞 和尙)이 날 찾나 도화유수 무릉 (桃花流水 武陵) 가자 어주속객 (魚舟屬客)이 날 찾나 부춘산

창부타령 경기소리그룹 앵비

지화자 좋네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한송이 떨어진꽃이 낙화진다고 설워마라 한번 피었다 지는줄을 나도 번연히 알건만은 모진손으로 꺽어다가 시들기전에 내버리니 버림도 쓰라리거든 무심코 밟고가니 긴들아니 슬플소냐 숙명적인 운명이라면 너무도 아파서 못살겠네 얼씨구 절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나를찾네 나를찾네 그 누구라 나를찾나 기산영수

초입 조상현

이도령: (아니리) 니가 모르는 말이로다 고래로 문장호걸들이 명승지는 다 구경하셨느니라 천하지제일강산 쌓인 게 글귀로다 내 이를 터니 한번 들어 보아라 이도령: (중중몰이) 기산영수 별건곤 소부 허유 놀고 채석강명월야으 이적선도 놀고, 적벽강추야월의 소동파도 놀아있고 시상리에 오류촌 도연명도 놀고 상산의 바돌 뒤는 사호선생도 놀았으니 내또한 호협사라 동원도리편시춘아니

남도민요 화초사거리 이화중선.이중선

지금 불리워지는 <화초사거리>는 불가어로 된 부분은 제외되고 “산천 초목 성림헌디”라는 부분부터 시작되는데 이화중선, 이중선이 녹음한 <화초사거리> 역시 “산천 초목 성림헌디”로 시작된다. 이 녹음 역시 이화중선이 주도하여 부르고 있으며 이중선은 부르는 시늉만 내는 정도다.

유산가(遊山歌) 묵계월

(層巖絶壁)의 폭포수 (瀑布水)는 콸콸 수정렴 (水晶簾) 드리운 듯 이 골 물이 수루루루룩 저 골 물이 솰솰 열의 열 골 물이 한데 합수 (合水)하여 천방 (天方)져 지방 (地方)져 소쿠러져 펑퍼져 넌출지고 방울져 건너 병풍석 (屛風石)으로 으르렁 콸콸 흐르는 물결이 은옥 (銀玉)같이 흩어지니 소부 (巢父) 허유 (許由) 문답 (問答)하던 기산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