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군밤타령(자진모리) 경기도 민요

(받는소리) 얼싸 좋네 아하 좋네 군밤이여 에라 생률밤이로구나 1. 너는 총각 나는 처녀 처녀 총각이 단둘이 만나 둥글어졌구나 2. 눈이 온다 눈이 온다 이 산 저 산에 어허 얼싸 흰눈이 온다. 3.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 바다에 어허 얼싸 돈바람 부누나 4. 중아 중아 상좌 중아 네 절 인심이 어허 얼싸 얼마나 좋으냐 5. 갈까 보...

군밤타령 경기도 민요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분다 연평 바~다에 어허어 얼싸 돈바람 분다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이로구나 봄이~ 왔네 봄이~ 왔네 금수 강~산에 어허어얼싸 새봄이 왔네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이로구나 너도~ 청춘 나도~ 청춘 청춘 시~절에 어허어얼싸 할일~ 하자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이로구나 학도~ 뜨고...

군밤타령 경기도 민요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분다 연평 바~다에 어허어 얼싸 돈바람 분다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이로구나 봄이~ 왔네 봄이~ 왔네 금수 강~산에 어허어얼싸 새봄이 왔네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이로구나 너도~ 청춘 나도~ 청춘 청춘 시~절에 어허어얼싸 할일~ 하자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이로구나 학도~ 뜨고...

옹헤야 (자진모리) 경기도 민요

(받는소리) 에헤헤헤 옹헤야 어절시구 옹헤야 잘도헌다 옹헤야 1. 옹헤야 옹헤야 어절시구 옹헤야 저절시구 옹헤야 잘도헌다 옹헤야 2. 철뚝넘어 옹헤야 메추리란 놈이 옹헤야 보리밭에 옹헤야 알을 낳네 옹헤야 3. 앞집금순 옹헤야 뒷집복순 옹헤야 서로만나 옹헤야 정담헌다 옹헤야 4. 정월보름 옹헤야 달 밝은 밤 옹헤야 줄다리기 옹헤야 신명난다 ...

군밤타령 민요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분다 연평 바-다에 어허어 얼싸 돈바람 분다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이로구나 봄이- 왔네 봄이- 왔네 금수 강-산에 어허어얼싸 새봄이 왔네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이로구나 너도- 청춘 나도- 청춘 청춘 시-절에 어허어얼싸 할일- 하자 얼싸 좋네 하 좋네 군밤이요 에라 생률 밤...

군밤타령(민요) Kang, Byeong-Cheol & Samtaeki

(받는소리) 얼싸 좋네 아하 좋네 군밤이여 에라 생률밤이로구나 1. 너는 총각 나는 처녀 처녀 총각이 단둘이 만나 둥글어졌구나 2. 눈이 온다 눈이 온다 이 산 저 산에 어허 얼싸 흰눈이 온다. 3.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 바다에 어허 얼싸 돈바람 부누나 4. 중아 중아 상좌 중아 네 절 인심이 어허 얼싸 얼마나 좋으냐 5. 갈까 보다...

들국화 (자진모리 민요

후렴] 산들바람 부는 가을하늘 높고 물맑은데 고요한 산기슭에 들국화가 피었구나 1. 연분홍 보라색은 두메골 처녀인양 흰빛깔 맑은자태 산중처사 닮았구나 2. 그 누구가 가꾸련만 혼자크고 혼자피네 높낮이 가림없이 우뚝우뚝 여기저기 3. 새벽이슬 젖은얼굴 햇빛받아 단장하고 황혼되어 달빛이니 가장 혼자 한도 많다

까투리 타령 (자진모리) 민요

1. 전라도라 지리산으로 꿩사냥을 나간다 지리산에 올라 무등산을 복고 나주 금성에 당도하니 2. 충청도라 계룡산으로 꿩사냥을 나간다 계룡산에 올라 속리산을 복고 경상 가야산에 당도하니 3. 경기도라 삼각산으로 꿩사냥을 나간다 삼각산에 올라 종각산을 복고 광주산성에 당도하니 4. 경상도라 문경새재로 꿩사냥을 나간다 문경새재에 올라 청량산을...

신고산타령 (자진모리) 함경도 민요

신고산이 우루 루 함흥차 떠나는 소리에 잠못드는 큰 애기는 반 못짐만 싼 다네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디야 에 사 랑 아 삼수갑산 머루 다래는 얼크러 설크러 졌는데 나는 언제 임을 만나 얼크러 설크러 질거나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디야 에 사 랑 아 가을 바람 소슬하니 낙옆이 우수수지고요 풀벌레는 울고 울어 이내 심사를 달래네 어랑 어랑 어허...

민요 메들리 경기도 민요

지화 좋다 얼씨구나 좀두 좋냐 명년 오뉴월에 탁족놀이 가자 천하지대본은 농사밖에 더 있느냐 놀지 말고서 농사에 힘씁시다 지화 좋다 얼씨구나 좀두 좋냐 명년 구시월에 단풍놀이 가자 함경전 넓은 뜰 영 애기 걸음으로 아기장 총총걸어 하늘거리고 나간다 지화 좋다 얼씨구나 좀두 좋냐 명년 동지섣달 설경놀이 가자 창부 타령 경기도

민요 메들리 경기도 민요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한들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강원도 금강산 백도라지 도라지 캐는 아가씨 손맵시도 멋드러졌네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 한들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 한들 밀양 아리랑 경상도 민요

방아타령 (경기도 민요) 김영임

노자 좋~구나 오초동남 너른 물에 오고가는 상고선은 순풍에 돛을 달고 북을 두리둥실 울리면서 어기여차 닻감는 소리 원포~ 귀범이 에헤라이 아니란 말~가 에헤에헤~ 에헤야~ 어라 우겨라 방아로구나 반넘어 늙었으니 다시 젊기는 꽃잎이 앵도라졌~다 에~라~ 좋~구나 영산홍록 봄바람에 넘노나니 황봉백접 붉은 꽃 푸른 잎은 산용수세를 그림 허고 나는 나비 우...

베틀가(경기도 민요) 김세레나

들창밖에 나리는 비는 가신님의 눈물이다 에헤야 베짜는 아가씨 사랑노래 베틀에 수심만 지누나 달은 밝고 조용은 한데 정든님 생각이 또다시 난다 에헤야 베짜는 아가씨 사랑 노래 베틀에 수심만 지누나 오늘날도 하수심 하니 베틀가나 불러보자 에헤야 베짜는 아가씨 사랑노래 베틀에 수심만 지누나 무정세월 가지를 말어라 청춘의 홍안이 다 늙어간다 에헤야 베짜는 ...

방아타령 (경기도 민요) 김영임

노자 좋~구나 오초동남 너른 물에 오고가는 상고선은 순풍에 돛을 달고 북을 두리둥실 울리면서 어기여차 닻감는 소리 원포~ 귀범이 에헤라이 아니란 말~가 에헤에헤~ 에헤야~ 어라 우겨라 방아로구나 반넘어 늙었으니 다시 젊기는 꽃잎이 앵도라졌~다 에~라~ 좋~구나 영산홍록 봄바람에 넘노나니 황봉백접 붉은 꽃 푸른 잎은 산용수세를 그림 허고 나는 나비 우...

베틀가(경기도 민요) 김세레나

들창밖에 나리는 비는 가신님의 눈물이다 에헤야 베짜는 아가씨 사랑노래 베틀에 수심만 지누나 달은 밝고 조용은 한데 정든님 생각이 또다시 난다 에헤야 베짜는 아가씨 사랑 노래 베틀에 수심만 지누나 오늘날도 하수심 하니 베틀가나 불러보자 에헤야 베짜는 아가씨 사랑노래 베틀에 수심만 지누나 무정세월 가지를 말어라 청춘의 홍안이 다 늙어간다 에헤야 베짜는 ...

통영 개타령 (자진모리) 경상도 민요

1. 개야 개야 검둥개야 개야 개야 검둥개야 개야 개야 검둥개야 가랑잎만 달싹해도 짖는 개야 청사초롱 불 밝혀라 우리님이 오시거든 개야 개야 검둥개야 개야 개야 검둥개야 짖지를 마라 짖지를 마라 멍멍 멍멍 짖지를 마라 2. 개야 개야 백설개야 개야 개야 백설개야 개야 개야 백설개야 달 그림만 비치어도 짖는 개야 밤중에 한밤중에 우리님이 오...

타박네야 (느린 자진모리) 함경도 민요

타박 타박 타박네야 너어드메 울고가니, 우리엄마 무덤가에 젖먹으러 찾아간다 산이 높아서 못간단다 산높으면 기어가지, 물이 깊어서 못간단다 물깊으면 헤엄치지 명태 줄까 명태싫다 가지줄까 가지싫다, 우리 엄마 젖을다오 우리 엄마 젖을다오 우리 엄마 무덤가에 기어기어 와서보니, 빛깔 좋고 탐스러운 개똥참외 열렸길래 두 손으로 떠서들고 정신없이 먹어...

둥당에타령 (자진모리와 굿거리) 민요

사 사람을 칠라믄 요 요렇게 친다네 옆구리 진구리 다 잡아놓고 친다네 덩기둥당에 둥당에 덩 (받는소리) 둥당덩 둥당덩 덩기둥당에 둥당덩 둥당에디야 둥당에디야 덩기둥당에 둥당덩 (자진모리) 1. 솜버신 솜버신 왹양목에 솜버신 시엄씨 줄려고 해다가 놨더니 어느나년이 다 둘러갔나 덩기둥당에 둥당덩 2.

민요 접속곡 민해경

몽금포타령 장산곶마루에 - 북소리나더니 금일도상봉에 임만나보겠네 ● 밀양아리랑 날좀보소-날좀보소 동지섣달 꽃본듯이 날좀보소 ● 닐리리야 닐릴리리 닐릴리리 닐릴리야-니나노 난실로 네가 돌아간다 닐리리 닐리리 닐리리 닐리리 닐리리야 ● 천안삼거리 천안삼거리 흥흥-능수야 버들은 흥흥- - 제멋에 겨워서-휘늘어졌구나 흥흥- - ● 군밤타령

덜래기 소리 민요

풍년이 대풍년이 왔네 (자진모리) (받는소리) 에헤야 어허야 덜덜래기야 1. 흥이났네 흥흥이 났네 2. 우리 농군들 흥흥이 났네 3. 날 오란다네 날 오란다네 4. 산골처녀가 날 오란다네 5. 무엇하자고 날 오란당가 6. 청장리 차조밥 세와젓 놓고 7. 혼자 먹기가 심심타고서 8. 둘이 먹자고 날 오란다네 9.

매화 타령 경기도 민요

인간 이별~ 만~~사~중에 독~수공방에~ 상사 난이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에야 데야 에 에~~~~~ 에~ 에 뒤~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안~방 건너방~ 가로~닫~이 국~화색김의~ 완자무늬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에야 데야 에 에~~~~~~ 에~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어저께 밤에도~...

닐리리야 (굿거리) 경기도 민요

(받는소리) 닐리리야 닐리리야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간다 닐-닐-닐 닐리리야 1. 청사초롱 불 밝혀라 잊었던 그님이(낭군이) 다시 돌아온다 2. 일구월심 그리든 임 어느 시절에 다시 만나보나 3. 산은 첩첩 천봉이요 불은 잔잔 백곡이라 4. 백옥같이 곱던 얼굴 검버섯이 웬일인가(햇빛에 그을리기 웬말인가) 5. 간다더니 왜 또왔냐 울리고 ...

도라지 타령 경기도 민요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 심심 산천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로 반실만 되누나 에헤요 에헤요 헤헤야 어여라 난다 지화자 좋다 저기 저산 밑에 도라지가 한들한들

아 리 랑 경기도 민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 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청천 하늘엔 별도~ 많~고~~~ 우리네~ 살림살~이~ 말도 많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풍년이 온다네 풍년이 ...

매화 타령 경기도 민요

인간 이별~ 만~~사~중에 독~수공방에~ 상사 난이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에야 데야 에 에~~~~~ 에~ 에 뒤~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안~방 건너방~ 가로~닫~이 국~화색김의~ 완자무늬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에야 데야 에 에~~~~~~ 에~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어저께 밤에도~...

사설 난봉가 (중중모리) 경기도 민요

에------------- 1. 앞집의 큰애기 시집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은 목매러 간다 앞집의 큰애기 시집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은 목매러 간다 사람 죽는건 아깝지 않으나 새끼 서발이 또 난봉나누나 아 하아하아 아야-어야-하디야-하-내 - 사- 랑아- 2. 나를 버리고 가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이 난다 나를 버리고 가는 님은 십리도 못가...

창부 타령 경기도 민요

아~니~~~~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하늘과 같이 높은~~~사랑 하해와~ 같이~도~ 깊은~ 사~랑~~ 칠년 대한 가~뭄~~ 날~에~~ 빗발 같~이도~ 반긴~ 사랑 당명화에 양귀~비요~~~ 이 도~~령~~의~ 춘향~이라 디리리 디리리 리리리리 딧디리 리리리 리리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아~니~~~~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봄들~었네 봄들~~...

경복궁 타령 경기도 민요

에에헤이여야얼럴럴 거리고 방아로다에 남문을 열 파루를 치니 계명 산천이 밝아 온다 에 을축 사월 갑자일에 경복궁을 이룩일세

석탄가/사발가 (굿거리) 경기도 민요

(받는소리) 에헤야 데헤야 어여라난다 뒤여라 해방의 불길이 타오른다 1. 석탄백탄 타는데 연기가 펄펄 나구요 이내가슴 타는데 연기도 김도 안나네 2. 서울 장안 타는데 한강수로 끄련만 이내 가슴 타는데 무엇으로 끄려나 3. 왜놈의 지원병 죽으면 개떼죽음이 되구요 광복군이 죽으면 독립의 열사가 되누나

아 리 랑 경기도 민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 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청천 하늘엔 별도~ 많~고~~~ 우리네~ 살림살~이~ 말도 많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풍년이 온다네 풍년이 ...

창부 타령 경기도 민요

아~니~~~~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하늘과 같이 높은~~~사랑 하해와~ 같이~도~ 깊은~ 사~랑~~ 칠년 대한 가~뭄~~ 날~에~~ 빗발 같~이도~ 반긴~ 사랑 당명화에 양귀~비요~~~ 이 도~~령~~의~ 춘향~이라 디리리 디리리 리리리리 딧디리 리리리 리리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아~니~~~~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봄들~었네 봄들~~...

나주 들내기 소리 민요

풍년이 대풍년이 왔네 (자진모리) * 에헤야 어허야 덜덜래기야 1. 흥이 났네 흥흥이 났네 2. 우리 농군들 흥흥이 났네 3. 날 오란다네 날 오란다네 4. 산골처녀가 날 오란다네 5. 무엇하저고 날 오란당가 6. 청장리 차조밥 세와젓 놓고 7. 혼자 먹기가 심심타고서 8.

굿거리, 자진모리 Various Artists

서공철은 경기도 여주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외삼촌인 가야금 명인 정남옥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한다. 강정숙은 1973년부터 80년까지 서공철에게서 산조를 배웠는데 그 까다로운 서공철류 산조를 배우고 또한 이것을 완숙하게 전승하고 있는 명인이다. 서공철 산조의 특징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담백하면서도 화려한 즉흥성에 있다.

민요 메들리 전라도 민요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아라리가 났네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이내 ~ 가슴엔 수심도 많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아라리가 났네 문경 세재는 왠고갠가 굽~ 굽이야 눈물이 난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흥~ 아라리가 났네 노들 강변 경기도

남도 신민요 민요

산들바람 살랑살랑 흰구름도 춤을 추네 녹음따라 가는 세월 산넘어 고개넘어 오색구름 두둥실 둥실 꽃노래가 아름답네 잎따러 가세 잎따러 가세 앞산 뒷산 잎따러가 우리모두 다같이 녹음이다 따러가세 황금빛 물결치는 망경이다 넓은들에 오곡이 소복소복 풍년가도 흥겨웁네 까치마을 금순이네 꽃가마가 흔들흔들 칠보단장 곱게하고 시집을 간다네 (자진모리

만가2 민요

쉬어가세 아하-에헤요(아하-에헤요) 천근이야 천근이요 가나님 보살 (가나님 보살) 세상천지 만물중에 가나님 보살 사람벡기 또 있는가 가나님 보살 여보시오 사주님네 가나님 보살 이네 말씀을 들어보소 가나님 보살 이세상에 나온사람 가나님 보살 누구네 덕으로 나왔는가 가나님 보살 석가연에 공덕으로 가나님 보살 (다구절 소리) - 자진모리

민요 메들리 신 민요

갑돌이와 갑순이는 한 마을에 살았더래요 둘이는 서로 서로 사랑을 했더래요 그러나 둘이는 마음 뿐이래요 겉으로는 음 ~ 모르는척 했더래요 그러다가 갑순이는 시집을 갔더래요 시집간 날 첫날 밤에 한없이 울었더래요 갑순이 마음은 갑돌이 뿐이래요 겉으로는 음 ~ 안그런척 했더래요 몽금포 타령 황해도 민요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도라지 타령 (경기도 민요) 민 요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심심산천에 도라지 한 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로 반실만 되누나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한들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강원도 금강산 백도라지 도라지 캐는 아가씨들 손맵시도 멋드러졌네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 한들 에헤요 에헤요...

오봉산 타령 (경기도 민요) 김영임

오봉산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가지 꺽어도 에루화 모양만 나누나 에헤야~ 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제일 봉에 백학이 춤추고 단풍진 숲속에는 새울음도 처량쿠나 에헤야~ 어허야 영산 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꼭대기 홀로 섰는 노송남근 광풍을 못이겨 에루화 반춤만 춘~다 에헤야~ 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타령 (경기도 민요) 김영임

오봉산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가지 꺽어도 에루화 모양만 나누나 에헤야~ 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제일 봉에 백학이 춤추고 단풍진 숲속에는 새울음도 처량쿠나 에헤야~ 어허야 영산 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꼭대기 홀로 섰는 노송남근 광풍을 못이겨 에루화 반춤만 춘~다 에헤야~ 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도라지 타령 (경기도 민요) 민 요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심심산천에 도라지 한 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로 반실만 되누나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한들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강원도 금강산 백도라지 도라지 캐는 아가씨들 손맵시도 멋드러졌네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어여라 난다 지화자자 좋다 저기 저 산밑에 도라지가 한들 한들 에헤요 에헤요...

방아타령 민요

또랑또랑 객사또랑 연지복숭을 심겼더니 뿌리는 뻗어 상병이 되고 가지는 뻗어서 이병되고 가지가지 피는 꽃 기상의 잡년의 태도로세 (자진모리) * 어헝 어허헝 어허헝 어허헝 어허야 얼럴럴 거느리고 방에흥에가 논다 1. 일년은 열두달 나멩 집을 사랑서 청초매 밑에다 다 털어옇네 2.

뱃노래 (중모리) 민요

돛달고 간다 인제야 가면 어허어 어허 언제야 울꼬 힘차게 내려라 어허어 어허 힘차게 내렸다 어기여차저차 어허어 어허 어영 차 (어기여차저차 어허어 어허 어영 차) 어야 디야 어허어 어허 영 차 밀어라 땡겨라 어허어 어허 어서 어서 가자 어기여차저차 어허어 어허 어영 차 (어기여차저차 어허어 어허 어영 차) (자진모리

뱃노래(민요) Kang, Byeong-Cheol & Samtaeki

돛달고 간다 인제야 가면 어허어 어허 언제야 울꼬 힘차게 내려라 어허어 어허 힘차게 내렸다 어기여차저차 어허어 어허 어영 차 (어기여차저차 어허어 어허 어영 차) 어야 디야 어허어 어허 영 차 밀어라 땡겨라 어허어 어허 어서 어서 가자 어기여차저차 어허어 어허 어영 차 (어기여차저차 어허어 어허 어영 차) (자진모리

쾌지나 칭칭나네 경상도 민요

하늘에다 베틀을 놓고 잉어 잡아 북을 놓세 정월이라 대보름날 팔월이라 추석날은 세월은 흘러도 설움만 남네 (자진모리) 쾌지나 칭칭나네 달아달아 밝은 달아 우주 강산에 비친 달아, 강변에는 잔풀도 많다 솔밭에는 공이도 많다 대밭에는 잔풀도 많다 어허 좋다 좋고 좋네, 이 논배마르 어서 심고 각각 집으로 돌아가서 풋고추의 단 된장에

군밤타령 김영임

받는소리) 얼싸 좋네 아하 좋네 군밤이여 에라 생률밤이로구나 1. 너는 총각 나는 처녀 처녀 총각이 단둘이 만나 둥글어졌구나 2. 눈이 온다 눈이 온다 이 산 저 산에 어허 얼싸 흰눈이 온다. 3.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 바다에 어허 얼싸 돈바람 부누나 4. 중아 중아 상좌 중아 네 절 인심이 어허 얼싸 얼마나 좋으냐 5. 갈까 보다 갈까 보다...

군밤타령 김세레나

(받는소리) 얼싸 좋네 아하 좋네 군밤이여 에라 생률밤이로구나 1. 너는 총각 나는 처녀 처녀 총각이 단둘이 만나 둥글어졌구나 2. 눈이 온다 눈이 온다 이 산 저 산에 어허 얼싸 흰눈이 온다. 3.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 바다에 어허 얼싸 돈바람 부누나 4. 중아 중아 상좌 중아 네 절 인심이 어허 얼싸 얼마나 좋으냐 5. 갈까 보다...

군밤타령 김용우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 바다에 얼사 봄바람 분다 얼싸좋네 하좋네 군밤이요 에헤라 생률 밤이로구나 너는 총각 나는 처녀 처녀 총각이 얼싸 잘 놀아나누나 얼싸 좋네 하좋네 군밤이요 에헤라 생률 밤이로구나 친구들아 말 들어라 저기 저 아가씨 얼굴이 생긋 얼굴이 방긋 얼싸좋네 하좋네 군밤이요 에헤라 생률 밤이로구나

군밤타령 Various Artists

군밤타령은 조선말기에 서울에서 생긴 민요이다. 군밤 사라고 외치는 노랫말도 그렇고 곡조 또한 경쾌하고 익살스럽다.

군밤타령 이박사

너는 총각 나는 처녀 처녀 총각이 단둘이 만나 둥글어졌구나 얼싸 좋네 아하 좋네 군밤이여 에라 생률밤이로구나 눈이 온다 눈이 온다 이 산 저 산에 어허 얼싸 흰눈이 온다. 얼싸 좋네 아하 좋네 군밤이여 에라 생률밤이로구나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 바다에 어허 얼싸 돈바람 부누나 얼싸 좋네 아하 좋네 군밤이여 에라 생률밤이로구나 중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