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상질소리

임석재


10. 개상질 소리

1971년 10월 8일 / 전북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 검지마을
앞소리: 박갑근, 남 50세

개상질이란 것은 요즘 말로 하면 탈곡하는 것입니다. 요샌 기계가 있어서 거기다 넣으면 뚜르르 알곡이 떨어지지만 옛날에는 아주 어렵게 탈곡을 했거든요. ‘홀태’라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 ‘홀태’는 대막대기에다가 수수가장이를 넣어서 그 사이에다가 벼 이삭을 하나나 두개를 넣고 잡아당겨서 떨어지게하는 것입니다. 일제시대에는 양홀태, 또는 맹홀태라고 해서 씨레 이빨처럼 쇠로 된 것에다가 볏단을 한 십분지 일 정도 넣어서 훑는 것이 있었지요. 이런 도구들은 아이나 아녀자들도 쓸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타작할 벼가 많을 때에는 개상질을 했습니다.
개상은 전신주보다는 좀 가늘지만 그만큼 긴 잣나무 대를 서너게 만들어 엮어서 붙여놓은 것입니다. 그 위에다가 볏단 하나를 풀지 않는 채 통째로 후려때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후려때리는 것을 개상질이라고 합니다. 탈곡이 되면 짚단은 짚단대로 옆으로 던져놓고 그러면 짚단 쌓는 사람이 쌓고 알곡은 떨어지고 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어느 지방에 노래 잘 부르는 사람이 있다 소문이 나면 여러 사람이 와서 노래를 청하고 자꾸 괴롭힙니다. 동시에 어떤 때는 소리꾼이 우쭐해져서 더 잘 해 볼려고 한단 말이죠. 사람이 이렇게 되어가는데 아무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서 순박하게 할 때에는 민요의 맛이 나는데 유명해져서 더 잘 해보겠다 하면 오히려 민요가 변질된단 말이죠. 검지부락 분들도 아주 유명해져서 대학생들이 많이 찾아가 배우는 모양이예요. 그래서 요즘 좀 노래가 바뀌는 것이 있는데 제가 보기에는 갈수록 오히려 음악성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에야하 헤 에야하 헤 잘도 친다 타작이야
오호하 어허헤 에헤이 나헤
“왔나? 어이” 에야하 헤 에야하 헤
곡우절에 씨를 던져 오호하 어허헤 헤헤이 나헤
“왔나? 어이” 에야하 헤 에야하 헤
망종절에 모를 심어 오호하 어허헤 에헤이 나헤
“에 왔나? 어이” 에야하 헤 에야하 헤
삼복 더위에 짐을 메어 오호하 어허헤 에헤이 나헤
에야하 헹 에야하 헹 칠팔월에 여문 곡식
오호하 어허헤 에에이 나헤
“왔나? 어이” 에야하 헤 에야하 헤
구시월에 수확했네 오호하 어허헤 에헤이 나헤
“어이 어이” 에야하 헤 에야헹
이 나락을 타작해서 오호하 어허헤 에헤이 나헤
“자 인제 한번만 다 됐네. 왔나? 어이”
에야헹 에야헹 삼동삼춘 양식하세
오호하 어허헤 에히이 나헤

그외 검색된 가사들

가수 노래제목  
임석재 영감타령  
임석재 어산영 1  
임석재 여름날  
임석재 어산영 2  
임석재 나니나난실타령  
임석재 목도소리  
임석재 퉁소독주  
임석재 한선비타령  
임석재 다리담방구타령  
임석재 구나라타령  
임석재 애원성  
임석재 돈돌라리  
임석재 둥당에타령  
임석재 배따라기  
임석재 쇠평수심가  
임석재 니리구얼싸  
임석재 물레타령  
임석재 배꽃타령  
임석재 굼베타령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임석재 오돌또기  
임석재 서우젯소리 1  
임석재 장타령  
임석재 여름날  
임석재 배따라기  
임석재 투전뒷풀이  
임석재 다리담방구타령  
임석재 풍구타령  
임석재 액맥이 타령  
임석재 자장가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