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변가

김란홍


봄이 되면 진달래가 온 산을 덮는다는 평안도 영변 약산 동대에 진달래 놀음을 두고 생긴 민요이다. 소리 특성으로 봐서 소리꾼들의 소리임에 틀림 없다. 민요에서 흔히 보이는 입타령은 물론 뒷소리도 딸리지 않는 장절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그런지 명창들은 <영변가>을 <배따라기>와 함께 좌창에 넣기도 한다. 사설 내용을 보면 제1절에는 영변 약산을 들먹이나 제2절 이하는 약산과 관계가 없이 임 그리는 내용들이다. 세마치 장단에 수심가토리로 되어 꿋꿋하고 장중하고 처량한 느낌을 준다. 소리 가락이 좀 까다로워 쉬 배우기는 어렵다.
수많은 명창들이 <영변가>를 음반에 담았는데 김란홍이 부른 <영변가>는 감칠 맛이 있어 장중하다가 보다 매우 서정적이라 할 것이다. 역시 빅타관현악단이 반주하였는데 음색이 화려하다 하겠으나 서도민요의 향토적인 맛이 희석되었다고 하겠다.

원반 : Victor KJ-1267(KRE 431)

노자 에헤 노자 노자 아하 아아아
젊어서 노잔다 나지마 나아아
병이나 들며는 못 노리로다
영변에 약산에 동대로다 아하 아아아
부디 편안히 너 잘 있거라
나도 명년 양춘은 가절이로다
또 다시 보자

오동에 복판이로다 아하 아아아
거문고로구나
둥당징 덜커덩 소리가 저절로 난다
남산을 바라다 보니 아하
진달 화초는 다 만발하엿는데
옷통 짧고 아래 아래통 팡파짐
아그네들아 날 살려다고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오복녀 영변가  
백운선 영변가  
김란홍 몽금포타령  
김란홍 본조신고산타령  
김란홍 사발가  
김란홍 창부타령  
김란홍 노래가락  
김란홍 흥타령  
김란홍 닐니리야  
김란홍 개성난봉가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