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ggle navigation
}
가사집
인기가사
실시간 검색가사
공지사항
가사 요청
다운로드
자유게시판
검색
한국어
English
가사 등록
싱크 가사 등록
검색어
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검색
긴염불
김종조
대표적인 황해도 민요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산염불>로 알려져 있으며 <
긴염불
>에 이어 부르는 <자진염불>과 짝을 이룬다. 본래는 불가의 노래가 세속화되어 민요로 불리우는 것이라고 하는데 실제 민요에는 불교적 요소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여럿이 부르는 후렴구에 “...... 염불이라 “라는 것이 남아 불교적 인상을 줄 뿐이다.
긴염불
고백화
긴염불
- 고백화 서산낙조 (西山落照)에 떨어지는 해는 내일 아침이면 다시 돋건만은 우리 인생은 한번 가면 다시 올 줄 왜 모르는가 에헤 에헤에 아미타 어허야 불이로다 달아 밝은 달아 무주강산 (無主江山) 비친 달아 님 홀로 누워 계시더냐 어떤 사랑을 속삭이더냐 본대로 일러다오 사생결단을 내볼란다
장타령
김종조
<각설이 타령>이라고 알려져 있는 장타령은 우리나라 전지역에 구전되어 오던 민요의 하나이다. 걸인들이 구걸을 할 때에 노래를 지어 부르던 것이 곡의 유래라고 추측되지만 경쾌한 리듬과 서민적인 삶의 애환을 담은 사설이 공감대를 형성하였기 때문인지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퍼졌던 것 같다. 이 음반에 수록된 <장타령>은 김종조의 서도창법이 살짝 가미되고 있고,...
배뱅이굿(4)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안택경, 파경
김종조
서도소리 명창 김종조가 부른 것인데 독경하는 판수가 주인과 수작하며 파경을 독경하는 모습을 그린 재담소리이다. 안택경이 집안의 안녕을 축원하는 경이고 파경은 맨끝에 잡귀를 먹여 보내는 경이다. 곡조는 안택경의 경우와 같이 불규칙한 자진장단에 서도소리조이다. 원반 : Victor KJ-1325-A, B(KRE 482, 483) 녹음 : 1939. 3....
배뱅이굿(5)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배뱅이굿(1)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전쟁가
김종조
<전쟁가>는 소설 <삼국지>중 적벽강에서 패한 군졸들이 신세자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빅터를 비롯하여 콜럼비아 등에 전하는 <전쟁가>의 내용을 살펴보면 노래의 사설 중 패졸들의 신세자탄하는 내용은 창자에 따라서, 또 부를 때마다 들고 남아 있지만 노래의 처음과 끝은 공통적으로 패군지장졸들이 자신의 처량한 처지와 고국으로 돌아갈 길이 막연함을 노...
화룡도
김종조
물론 이야기의 전개를 위해 판소리처럼 극적인 음악표현력을 구사하지는 않지만 노래를 통해 이야기 줄거리를 전개한다는 점에서 상호 관련성이 밀접해 보이며 김관준이나
김종조
같은 명인들이 남도 판소리의 성행에 자극을 받아 <전쟁가>, <화룡도> 등을 지어 부른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배뱅이굿(3)
김종조
(곡정보)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배뱅이굿(6)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자진아리
김종조
평안도 강서, 용강지방에서 김매기 할 때에 부른 토속민요이다. 자유리듬으로 부르는 토속적인 선율이 매우 독특하다. 이 노래가 전문 소리꾼에 의하여 널리 퍼진 것은 다른 서도잡가나 민요에 비해 매우 늦었던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1910년부터 30년대까지 널리 알려진 노래를 모은 잡가집에 <긴아리>,<자진아리>가 거의 수록되지 않았고, 또 여러 유성기...
배뱅이굿(2)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긴아리
김종조
평안도 강서, 용강지방에서 김매기 할 때에 부른 토속민요이다. 자유리듬으로 부르는 토속적인 선율이 매우 독특하다. 이 노래가 전문 소리꾼에 의하여 널리 퍼진 것은 다른 서도잡가나 민요에 비해 매우 늦었던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1910년부터 30년대까지 널리 알려진 노래를 모은 잡가집에 <긴아리>,<자진아리>가 거의 수록되지 않았고, 또 여러 유성기...
배뱅이굿(8)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배뱅이굿(7)
김종조
김종조는 평양 용강 출신으로 배뱅이굿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김관준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뱅이굿을 배웠다고 전한다. 김종조는 아버지에게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각종 소리를 배웠다 하는데, 일제때 서도소리로 이름을 떨치었고 최순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서도소리 명창이기도 하다. 그의 소리를 담은 유성기음반에는 배뱅이굿을 비롯하여 수심가, ...
산염불
김옥심
<
긴염불
> <후렴>에헤에 에헤에 에헤에 타아하 어허야 불이로다 백구야 훨~훨 나지를 마라 너를 잡을 내아니란다 성상이 바래심에 나를 쫓아서 예왔노라 긴염불은 구만하구요 자즌염불로 넘어간다 <자진염불> <후렴>에헤에 에헤에 나무아미타불이로다 춘광연세는 높아서오고 춘광연세는 높아서 소년같이만 점지하소 오실적에는 명꾸러미요 가실적에는 복꾸러미요
대풍류
Various Artists
잔치음악 - 환갑 1) 대풍류 :
긴염불
, 자진염불, 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자진당악 대풍류란 민속기악 합주음악을 말하며 승무 탈춤 등 민속무용의 반주로도 쓰이고 따로 의식에 연주하기도 한다.
남도 무속음악 장암염불
신수덕
남도에서는 중모리 장단으로 된 염불을 <
긴염불
>이라 이르고 중중모리 장단으로 된 염불을 <자진염불>이라 이른다. 신수덕이 부른 염불은 중중모리 장단으로 된 <자진염불>이며, 두 장단에 “나무야 나무야 나무로구나. 나무아미타불”하고 뒷소리를 부르게 되어 있고, 앞소리는 여러 장단에 걸쳐서 부르게 되어 있는데 길이는 불규칙하다.